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정치편향 논란…유튜브 '노란딱지'의 역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유튜브 정치편향플랫폼 아니야...진영 나눌 이유나 개연성 없어
전문가 "광고 수익 제한 아이콘 필요성 공감, 투명성은 좀 더 신경써야"
노란딱지는 광고 가이드라인, 신고는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적용
유튜브 프리미엄 서비스엔 노란딱지 적용 안하는 것 모순적이란 지적

정치편향 논란…유튜브 '노란딱지'의 역설
AD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 조회수 1만6127회, 대부분의 광고주에게 적합하지 않음, 직접검토로 확인됨. 좋아요 10, 싫어요 38"


구독자 10만명의 정치유튜버 A씨는 유튜브 스튜디오 페이지에 걸린 '노란딱지'를 캡처해 보여줬다. 노란색달러 기호에 커서를 갖다대자 '광고 제한 또는 배제'가 뜬다. A씨는 직접검토를 눌렀다. 구글코리아에서 선정한 전문가가 '재심'을 하는 단계다. 결과는 같았다. 광고수익이 배제되고, 추천영상에도 뜨지 않았다. A씨는 "어떤 영상을 올려도 노딱이 다 붙는다. 광고수익이 제로다. 계정을 다시 파야 한다"고 했다.


유튜브의 자율규제 기능 중 하나로 '광고 배제 및 제한' 아이콘인 '노딱' '노란달러'로 불리는 노란딱지 공방이 거세다. 보수 정치유튜버들을 중심으로 노딱이 빈번하다며, 구글이 정치편향적인 내용규제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온다.


정치편향 논란…유튜브 '노란딱지'의 역설


◆ '노란딱지' 유튜브 로직은 = 19일 유튜브코리아에 따르면 유튜브는 크게,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광고주친화콘텐츠 가이드라인 등으로 콘텐츠 내용을 규제한다. 우선 커뮤니티 가이드라인은 가장 강력한 내용규제 조치다. 아동학대, 테러조장, 증오, 혐오, 악의적 표현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고 이용자들이 신고하면 유튜브가 연중무휴 24시간 검토작업을 한다. 경중에 따라 콘텐츠가 삭제되고, 비슷한 위반사항이 많으면 계정이 해지된다.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신고'를 한다고 노란딱지가 붙는 건 아니다. 신고 건수가 다량으로 잡히면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저촉 여부를 검토하게 되고, 심할 경우 영상 삭제, 계정 삭제가 단행된다.


두번째가 최근 논란이 되는 노란딱지다. 계정 운영엔 영향이 없지만 광고 게재가 제한되거나 배제될 수 있다. AI알고리즘에 의해 유튜브가 정한 11개 가이드라인은 폭력, 유해, 증오, 논란의 소지가 있는 문제 등에 걸릴 경우다. 여기에 위배되는 콘텐츠는 '유튜브 봇'이라고 불리는 자동시스템이 걸러내고, 이에 불복하면 2차로 사람이 한번 더 판별한다. 사용자가 누르는 '싫어요'도 노란딱지에 영향을 주진 않는다. 다만 '싫어요'가 많으면 추천영상 게재가 어려워진다.


정치편향 논란…유튜브 '노란딱지'의 역설


◆ 노란딱지 왜 다나 = 문제는 이같은 가이드라인 적용이 정치편향성을 갖고 있느냐의 것이다. 가로세로연구소, 고성국tv, 신의한수 등 보수유튜버들은 "보수우파 정치채널에만 노딱테러가 일어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유튜브는 '정치편향 플랫폼'이 아니며, 유튜브가 2017년 부터 노란딱지를 붙여온 원론적인 입장은 분명하다고 강변한다. 예컨대 'BTS break-up(해체)' 같은 가짜콘텐츠가 올라오면 제목과 썸네일을 통해 조회수가 폭발적으로 올라간다. 해외 유저까지 클릭이 유도돼 수억대의 광고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 하지만 이 영상을 클릭하는 사용자도 가짜뉴스에 낚이게 되고, 광고를 다는 기업도 이미지가 나빠지게 된다. '문재인 치매', '노회찬 타살', '조국 처남이 세월호 사건과 연관돼 있다'와 같은 주제를 다룬 정치콘텐츠도 마찬가지다. 이는 유튜브가 광고친화콘텐츠 가이드라인을 만든 취지기도 하다.


글로벌 다국적기업인 유튜브가 '정치색'을 띨 이유도 개연성도 전혀 없다는 것도 근거다. 존리 구글 코리아 대표는 "노란딱지는 정치적 입장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언급했다. 윤성옥 경기대 미디어학부 교수도 "글로벌 플랫폼인 유튜브가 노란딱지를 정치적 성향으로 구분할 이유가 전혀 없다"면서 "아동보호나 콘텐츠 클린화를 위해서 필요한 유튜브의 자율규제 방식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치편향 논란…유튜브 '노란딱지'의 역설


◆ 기준 명확히 해야 = 전문가들은 유튜브의 자율규제 방식은 이해하나 '깜깜이'인 기준을 확고히 할 필요는 있다는 설명이다. 어떤 기준이 위배됐는지 설명이 없다보니 '보수 유튜버에게만 남용되고 있다'는 추측이 난무한다는 것이다. 성동규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결국 유튜브의 판단으로 자율규제가 생기는 것으로 볼수밖에 없는데 모호한 기준은 유튜브가 커질수록 계속 논쟁꺼리로 남을 수 있다"면서 "기준을 세부적으로 구체화할 필요는 있다"고 언급했다.


유튜브의 정책이 오락가락 하는 것도 문제라는 지적이다. 일례로 유튜브 노란딱지는 유료회원 서비스 프리미엄 회원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B 유튜버는 "폭력, 선정성을 기준으로 광고주 배제 규제를 하면서도, 유료서비스인 프리미엄을 통한 구독수익은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면서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독자를 끌어오면 어떤 콘텐츠를 해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성 교수는 "현재 유튜브의 노란딱지 정책은 기준이나 원칙이 모호해 시시비비꺼리가 있다"면서 "투명한 정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튜브의 이런 내용규제 방식이 표현의 자유를 위축시킨다는 지적도 전문가들의 의견이 갈렸다. 윤성옥 교수는 "노란딱지라는 유튜브의 규제 자체가 정부가 하는 규제가 아니라 특정 사업자의 선택이기 때문에, 크리에이터가 사업자를 선택가능한 문제다. 크리에이터의 불편이 크다고 보면 원칙적으로 유튜브를 떠나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동규 교수는 "'표현의 자유' 관점에서 제도나 법제화로 가기엔 (해외사업자라) 한계가 있다. 플랫폼 사업자의 자율심의, 자율규제 방식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