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北핵·미사일 대응 강화…'항모' 건조하고 'EMP탄' 개발(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방부 '2020~2024년 국방중기계획' 발표
5년간 290조5000억 투입…北대응에 34조

北핵·미사일 대응 강화…'항모' 건조하고 'EMP탄' 개발(종합) 정경두 국방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문제원 기자]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국방비가 연평균 7.1%씩 늘어 총 290조원에 이르게 된다. 국방부는 이 기간 중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응해 한국형 미사일방어(KAMD) 체계를 강화한다.


수직 이·착륙 스텔스 전투기인 F-35B 를 탑재할 수 있는 3만t 경항공모함급 대형수송함 설계를 실시하고, 유사시 북한 전력망을 무력화할 수 있는 정전탄과 전자기펄스(EMP)탄 개발도 추진한다.


국방부는 1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0~2024년 국방중기계획'을 발표했다. 국방중기계획은 향후 5년간 한국 군의 군사력 건설과 운영 방향을 알 수 있는 청사진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이 기간 소요되는 재원은 총 290조5000억원이다. 방위력 개선비가 103조8000억원, 전력운용비가 186조7000억원이다. 내년부터는 매년 국방예산이 5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올해 국방예산은 46조6000억원이다.


'2020~2024 국방중기계획'은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러시아ㆍ중국 등의 잠재적 위협 등에 대한 대응 방향을 포함하고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정부는 방위력개선 분야에서 핵ㆍ대량살상무기(WMD) 위협 대응 등 전략적 억제 능력 확보를 위해 총 34조1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군은 군 정찰위성과 중ㆍ고고도 무인 정찰기 확보, 신호정보 수집 능력이 향상된 백두체계 등을 신규 전력화하고 실시간 정보 융합ㆍ전파 체계를 구축해 한국 군 독자적인 감시정찰 능력을 완비해나간다. 이를 통해 한반도 전구 감시정찰 능력이 획기적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앞선 중기계획에서 의미가 후퇴했던 미사일 방어체계는 더욱 향상시키기로 했다.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추정 신형 무기 발사로 안보 우려가 커진 만큼 적극적인 보완책을 마련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군은 탄도탄 조기경보 레이더와 이지스 구축함 레이더를 추가로 확보해 전 방향 미사일 탐지능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패트리엇과 철매-II를 성능개량하고 L-SAM 연구개발을 완료해 다층ㆍ다중 방어 능력을 구축, 북한의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 등에 대한 충분한 요격 능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北핵·미사일 대응 강화…'항모' 건조하고 'EMP탄' 개발(종합) 지난달 26일 경남 거제도 인근 해상에서 열린 청해부대 30진의 해적대응 민관군 합동훈련에서 해군 특수전 대원(UDT/SEAL)으로 구성된 검문검색대 공격팀이 고속단정(RIB)에 탑승해 피랍 상선으로 가정한 함정으로 접근하고 있다. (사진=대한민국 해군)

특히 국방부는 탄도탄작전통제소 성능개량을 통해 동시 처리 표적을 현재보다 8배 이상 향상시키고, 다른 탐지ㆍ요격 무기체계와의 연동 능력도 2배 이상 높이기로 했다.


적 미사일을 탐지ㆍ추적ㆍ파괴하는 일련의 작전개념인 '전략 표적 타격'(옛 킬체인) 능력 강화를 위해 유도탄 전력도 고도화 시킨다. 현무, 해성, 장거리공대지유도탄 등 지상, 함정, 잠수함, 전투기에서 발사 가능한 정밀 유도탄을 확충하고 정전탄, EMP탄 등 비살상 무기체계도 개발해 나갈 예정이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비살상무기체계는 인명 피해를 줄이면서도 적의 전력송신체계를 무력화해 전쟁지속 능력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특히 국방부는 유사시 적 육상지역 표적 타격을 위한 '합동화력함'도 국내에서 건조하기로 했다. 이 함정은 함대지 미사일 등을 탑재해 해상에서 지상의 화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국형 구축함에 탑재하는 SM-2급 함대공미사일도 국내 개발한다.


아울러 국방부는 러시아의 영공 침범 등 주변국의 잠재적 위협에 대비한 능력도 보다 확충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이를 위해 이지스 구축함을 추가 확보하고 3000t급 잠수함을 건조해 배치하겠다고 설명했다.


단거리 이착륙 전투기의 탑재가 가능한 사실상 경항공모함급 다목적 대형수송함을 확보해 상륙작전 지원뿐만 아니라 원해 해상기동작전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다목적 대형수송함은 내년부터 선행연구를 통해 개념설계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어 국방부는 해상 초계 전력 강화를 위해 최신 해상 초계기와 해상 작전 헬기를 추가 확보해 나간다.


또 노후화된 공군 F-4, F-5 전투기는 점진적으로 퇴역시키고, F-35A 스텔스 전투기 등 최신 기종을 적극 도입함은 물론 한국형전투기 사업(KF-X)에도 박차를 가한다.



이 외에도 국방부는 해안 감시ㆍ경계체계 개선을 위해 신형 해상 감시레이더와 최신 열영상감시장비(TOD-3) 등을 배치하고 민간의 우수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장비를 배치할 예정이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