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년주택 확대]2019년까지 5만가구 내놓는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6초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서울시의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속도가 붙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28일자로 도봉구 쌍문동, 강남구 논현동(2개 사업지), 관악구 신림동, 광진구 구의동 등 5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대한 도시관리계획을 변경 결정 고시했다.

서울시는 민간 사업시행자가 도시관리계획 변경 등을 포함한 사업계획서를 접수한 지 3~8개월 만에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 등 사업계획결정 절차를 끝냈다. 일반적으로 1년 이상 걸린다. 이번에 사업계획이 결정된 5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모두 5000㎡ 이하의 소규모 토지(비촉진지구)에서 추진된다.

이들 5개 사업지에서 추가 공급되는 역세권 청년주택은 1184가구(공공임대 252가구)다. 서울시가 앞서 지난 15일 사업계획 결정고시를 한 성동구 용답동 233-1번지의 역세권 청년주택까지 더하면 지금까지 소규모 부지에서만 1354가구의 공급이 결정됐다.


이번에 사업계획이 결정된 곳들은 연내 관할 구청에서 건축허가 관련 절차를 밟게 된다.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공사에 들어간다. 정유승 주택건축국장은 "소규모 필지 개발을 통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청년주택 공급 물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민간 사업자에게 용도지역 상향, 절차 간소화, 세제 혜택 등을 주는 대신 민간 사업자가 주거 면적 100%를 공공·민간임대로 지어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중 서울시가 10~25%를 공공임대로 확보해 주변 시세의 68~80%선에서 공급한다.


서울시는 2019년까지 역세권 청년주택 5만가구(사업승인 기준)를 공급할 계획으로, 올해 목표량은 1만5000가구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촉진지구 대상인 부지면적 5000㎡ 이상의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 사업승인을 통해 3616가구의 역세권 청년주택을 인가했다. 비촉진 대상인 5000㎡ 이하의 경우 이번에 사업계획이 결정된 5개 사업지를 제외하고도 추가로 준비하고 있는 곳이 있어 역세권 내 소규모 토지 개발을 통한 역세권 청년주택이 본격 공급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더 나아가 3년간 역세권 청년주택 5만가구 공급 목표도 초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공공임대 1만가구, 민간임대 4만가구 수준이다. 단 추가적인 제도 개선이 적시에 이뤄진다는 조건을 달았다.


서울시 자체적으로는 사업대상 범위, 지정 요건 등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를 지난 5월 개정·공포했다. 대중교통중심 역세권 요건 중 도로 폭 기준을 30m 이상에서 25m 이상으로 완화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 284개 역 중 대중교통중심 역세권이 212곳에서 236곳으로 늘어났다.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이 가능한 지역에 근린상업지역도 포함, 약 82만㎡가 사업 대상지에 들어왔다. 또 신림동, 노량진동 등 청년 밀집지역을 시장이 사업대상지로 별도 지정할 수 있어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