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500대기업 R&D 비중 2.7%…제약업종 10% ‘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2초

제약에 이어 IT전기전자, 서비스업종 5~6%대로 높아
엔씨소프트·네이버 25% 넘어…GS에너지·서희건설 전무


500대기업 R&D 비중 2.7%…제약업종 10% ‘톱’
AD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국내 500대 기업의 연구개발(R&D) 비중이 2.7%로 작년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약업종은 10%에 육박해 가장 높았다. IT·전기전자와 서비스업종 역시 5~6%대로 기술 중심 업종의 R&D 투자가 활발했다. 기업별로는 엔씨소프트와 네이버(NAVER)가 매출의 25% 이상을 R&D에 투자한 반면 GS에너지, 서희건설 등 27개사는 0.1%조차 집행하지 않았다.


13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에 따르면 500대 기업 중 반기보고서를 제출하고 R&B 투자 내역을 공시한 217개사를 조사한 결과 매출액 782조5394억원 중 R&D 투자비용은 20조9721억원으로 2.68%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에 비해 0.02%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1년 새 매출액은 6.9%(50조2787억원) 증가했는데 R&D 비용은 이보다 높은 7.8%(1조5148억원) 늘었다. 이번 조사에서 금융회사는 제외했다.


IT·전기전자 업종은 R&D 비용이 13조201억원으로 500대 기업 전체의 62.1%나 됐다. 자동차·부품 업종이 2조8802억원(13.7%), 석유화학 업종이 1조631억원(5.1%)으로 뒤를 이었고, 나머지 업종은 모두 1조원 미만이었다.


업종별 매출액 대비 R&D 비중은 제약업종이 9.99%(2865억원)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IT전기전자(6.99%, 13조201억원), 서비스(5.76%, 9977억원) 순이었다. 자동차·부품(2.39%, 2조8802억원), 통신(2.11%, 4834억원)은 2%대, 조선·기계·설비(1.58%, 9144억원), 생활용품(1.45%, 1703억원)은 1%대였다.


나머지 업종은 모두 1% 미만이었다. 상사는 0.03%(59억원)로 가장 낮았고 운송(0.46%, 263억원), 철강(0.61%, 3183억원), 식음료(0.70%, 1749억원), 석유화학(0.70%, 1조631억원), 공기업(0.81%, 4675억원)도 1%를 밑돌았다.


기업별 R&D 비중은 엔씨소프트 26.06%(1298억원), 네이버 25.15%(5562억원)로 압도적 1~2위를 차지했다. 이어 한미약품(17.40%, 794억원), 카카오(13.12%, 1197억원), NHN엔터테인먼트(12.95%, 585억원), 대웅제약(12.71%, 544억원), 종근당(11.00%, 463억원), 녹십자(10.89%, 559억원), 에스엘(10.31%, 368억원) 등 9개사가 10%대로 높은 편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IT 중심의 서비스와 제약업종이며 다른 업종으로는 에스엘(자동차·부품)이 유일했다.


삼성SDI(9.99%, 2758억원)는 10위였고, SK하이닉스(8.96%, 1조1626억원), 서울반도체(8.88%, 465억원), LG이노텍(8.63%, 2575억원), 삼성전자(7.11%, 7조9363억원), LG전자(6.93%, 2조233억원) 등 IT전기전자업종도 상위권에 속했다.


지난해 적은 규모로 집행했던 GS에너지와 서희건설은 올해 R&D 투자가 전혀 없었다. 양사를 포함해 SK브로드밴드(0.01%, 1억원), 포스코대우(0.01%, 11억원), 현대엔지니어링(0.02%, 5억원), 현대오일뱅크(0.03%, 22억원), GS리테일(0.04%, 16억원), 에쓰오일(0.07%, 69억원) 등 27개사는 R&D 비중이 0.1% 미만이었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