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대통령 "먹거리 사고 미봉책에 그쳐…공장형 밀집 사육환경 개선돼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해수부엔 "해운·조선 상생 위해 산자부와 협의 체계 구축" 주문

文 대통령 "먹거리 사고 미봉책에 그쳐…공장형 밀집 사육환경 개선돼야"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오후 세종특별자치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농식품부ㆍ해양수산부 핵심정책 토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설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30일 '살충제 계란' 파동 등과 관련해 "먹거리 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과 눈높이가 높은 것에 비해 정부의 대처가 안일하지 않나 되돌아 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핵심정책토의'에서 "먹거리 안전사고가 잊을 만하면 터지고 그때마다 내놓은 대책은 미봉적인 정책에 그치고 있다"며 이 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살충제 계란 등 먹거리 안전 사고에 제 때 대응하지 못한 농식품부를 질타하면서 공장형 밀집 사육 환경 개선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동물 복지형 축산이 시대적 추세가 되고 있는 만큼 얼마나 많이 생산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키우고 생산하느냐로 축산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20년 전으로 후퇴한 쌀값, 도시민의 60%에 불과한 농가소득, 40세 미만 농가 경영주가 1%라는 열악한 농촌 현실에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 조류독감과 계란파동 등으로 농업인들의 어려움이 이만저만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농가소득을 안정적으로 보장해 농민들의 시름을 덜어주고 젊은이들이 돌아오는 농촌이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일자리와 기회 창출을 위해 역량을 쏟아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해수부에는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해운과 조선 간 상생 등을 통한 경쟁력 회복 등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해운업은 해수부로, 조선업은 산업통상자원부로 소관이 나뉘어 있어도 해운과 조선의 상생을 위해 산자부와 협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어 "해양경찰이 해수부 외청으로 재출범한 만큼 두 기관이 협력하여 영토 지킴이, 민생 지킴이가 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