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안동 임청각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스 상징'…대체 어떤 곳이었길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안동 임청각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스 상징'…대체 어떤 곳이었길래 경북 안동 임청각. 사진=연합뉴스
AD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제72주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경북 안동 임청각을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상류층의 도덕적 의무)를 상징하는 공간'이라 말하면서 임청각의 역사가 재조명 받고 있다.

안동시 법흥동 법흥교 옆에 있는 임청각은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의 여섯째 아들 영산현감 이중공과 형조좌랑을 역임한 이중공의 셋째 아들 이명이 1519년 건축한 조선 중기 별당형 정자다.


영남산 기슭 비탈진 경사면을 이용해 계단식으로 기단을 쌓고 99칸을 배치한 살림집으로 지었다. 대청에 걸려있는 현판은 퇴계 선생 친필로 알려졌다.

하지만 정작 주목받아야 할 이유는 따로 있다.


대한민국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1858∼1932) 선생의 생가인 임청각은 석주 선생을 비롯한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한 고성 이씨 가문의 종택이기도 하다. 이 중에는 석주 선생의 두 동생과 아들, 손자, 조카 등이 있다.


경술국치 이듬해인 1911년 1월 식솔들을 이끌고 기약 없는 만주 망명길에 오른 석주 선생은 서간도에서 독립단체 통합 노력에 주력하다가 1932년 유명을 달리했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전답은 물론, 99칸짜리 임청각까지 처분해 독립운동 자금으로 쓰는 바람에 당시 일제가 독립운동 성지나 다름없는 임청각의 정기를 끊으려고 행랑채와 부속건물 등 50여 칸을 뜯어내고 마당 한가운데 중앙선 철길을 내기도 했다.


이로 인해 가문도 혹독한 시련을 겪었다. 손부 허은(1907∼1997)여사 슬하 7남매 중 장남은 일본강점기 경찰에 끌려가 고문 후유증으로 숨졌고 둘째, 셋째, 넷째는 실종되거나 사고로 숨졌다.


허은 여사는 훗날 회고록에서 "(나라에)억울한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남 앞에 비굴함 없이 당당하게 살아가는 아이들을 보며 그래도 선대의 긍지가 그들 핏속에 자존심으로 살아 있구나 싶다"고 전했다.






아시아경제 티잼 홍민정 기자 hmjeo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