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득 삼천리 회장 등 경영권 유지하며 미등기임원으로 바꿔 연봉 공개 회피
"보수 공개 기준 5억원에서 1억원으로 낮추고 연봉 상위 미등기임원도 공개해야"
[아시아경제 박미주 기자]전체 상장사 임원의 6%만 보수가 공개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 고액 연봉을 공개하지 않기 위해 경영권은 유지하며 미등기임원으로 바꾼 것으로 의심되는 사례는 여전히 이어지고 있었다.
4일 경제개혁연구소에 따르면 회계연도가 2016년 1월 말부터 12월 말 사이인 1878개 전체 상장사의 임원 1만1706명 중 보수가 공시된 임원은 총 694명으로 전체 임원의 5.93%에 불과했다. 전체 사내이사 6375명 대비로는 보수가 공개된 임원은 10.89%였다.
일부 경영인은 특별한 이유 없이 미등기임원이 돼 개별보수를 공시하지 않기도 했다. 2015년 개별보수를 공시한 지배주주 임원 중에서는 40명이 보수를 공시하지 않았다. 임기 중에 중도 사임하거나 재선임되지 않고 미등기임원으로 경영권을 유지하는 사례는 이 중 총 7 건으로 17.5%였다. 이만득 삼천리 명예회장, 강정석 동아쏘시오홀딩스 회장 등이 그 예다.
이만득 삼천리 회장은 2015년 9억7500만원을 받아 개별 보수내역을 공시했다. 그러다 지난해 3월 등기이사를 사임해 개별보수 공시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 회장은 사임 이후에도 미등기임원으로 회장직을 계속 수행하고 있다.
강정석 동아쏘시오홀딩스 회장은 2015년 18억원이 넘는 보수를 수령했다. 이 중 대부분인 15억8300만원은 급여명목으로 수령했다. 지배주주 2세로 26년이나 회사에 재직한 강 회장은 2016년 3월 등기이사를 사임해 개별보수 공시 의무가 사라졌다. 그러나 여전히 미등기임원으로서 회장직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등기이사 임기 만료일이 지난 3월이었음에도 임기 중에 대표이사를 사임했다.
이밖에 고연봉이지만 공시는 안 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영인은 구자홍 전 LS산전 이사다. 구 전 이사는 2014년 말까지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했다. 2015년에는 등기이사가 아니므로 개별보수 공시 대상은 아니었다. 2015년 사업보고서에 개별보수 14억3900만원을 공시했고, 2016년에는 공시하지 않았다. 2016년 구자홍 전 이사는 공시의무가 없으므로 보수가 5억원 이상이지만 공시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형사재판 유죄 확정이 됐던 김승연 한화 회장과 이재현 CJ 회장 등은 등기이사로는 선임되지 않아 올해까지 보수는 원천적으로 공개되지 않는다.
이수정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은 "이만득 회장이나 강정석 회장과 같이 뚜렷한 이유 없이 등기이사를 사임하고 이후 미등기임원으로 회장직을 유지하는 경우 개별보수 공시 의무를 회피하기 위해 등기임원을 사임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다"고 짚었다.
내년부터는 이 같은 행태가 일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법 개정으로 등기임원이 아니더라도 한 계열사에서 5억원 이상 보수를 수령하고 보수총액 기준으로 상위 5 명에 포함될 경우 보수를 공개해야 해서다.
그러나 보수 공시 임원 비중을 늘리기 위한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이 연구위원은 "개별보수 공시 임원의 비중을 늘리기 위해 공시기준을 현행 5억원에서 1억원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며 "미등기임원도 5억원이 아니라 1억원 이상 보수를 수령하고 보수총액 기준으로 임직원 중 상위 5명에 포함될 경우 개별보수를 공시하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밖에 주주총회 소집공고에도 개별임원 보수를 공시하고, 보수 산정기준과 방법, 임원보수규정 등을 공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임원보수규정 공시를 의무화해 시장이 임원보수규정의 적정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박미주 기자 beyon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