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카드 다시 만지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1초

지상파, 광고매출 연이어 추락
"고품질 콘텐츠 제작 어려워져
지상파만 규제하는건 불공정"
시민단체 "시청권 침해 우려" 반발


공영방송 정상화가 새정부의 방송정책 최우선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지상파 중간광고' 역시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될 조짐이다.

광고매출 추락으로 고품질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중간광고 도입 군불 지피기에 다시 나섰다. 그러나 방송에 대한 광고주의 영향력이 강해져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는 반대 목소리가 강해 실제 도입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지상파방송, '중간광고' 카드 다시 만지작 광고매출 추락으로 고품질 콘텐츠 제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중간광고 도입 불지피기에 다시 나섰다. 그러나 시민단체 등은 "국민의 시청권을 훼손하게 될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어 실제 도입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하다.
AD


31일 한국방송협회는 "지상파 방송은 다른 방송사업자들보다 매출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의 제작비를 투자해 압도적으로 많은 신규 프로그램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지상파에게만 중간광고 규제를 하는 불공정한 룰로 인해, 콘텐츠 생산과 무료 보편적 플랫폼의 유지·발전을 위한 재원 확보에 큰 위기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상파 4사는 2015년 프로그램 제작·구매 비용으로 2조3900억원을 썼다. 종편4사는 4400억원, CJ E&M 계열사는 5400억원규모다. 시간당 투입된 제작비로 따지면, 지상파는 시간당 약 5700만원을 썼다. 종편은 1000만원, CJ는 200만원에 불과하다.


미국과 영국, 독일, 프랑스 등 해외 국가들의 경우는 지상파 중간광고 규제가 전혀 없거나 허용하되 몇 가지 조항을 둔다. 한국처럼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나라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더 많은 제작비는 물론 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지상파 프로그램이, 타 방송사 프로그램보다 더 적은 광고수익을 올리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KBS2의 드라마 '태양의후예'는 회당제작비 7억5000만원에 시청률은 30.1%를 기록했다. tVn의 '응답하라1988'은 회당 3억원의 제작비에 시청률은 12.1%를 기록했다. 그러나 총 광고판매액은 태양의후예가 122억원, 응답하라1988이 180억원이다.


정부에서도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에 관한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다. 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방송시장 내 매체경쟁은 심화되고 제작비는 급증하는 등 방송사업자의 제작여건이 악화되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면서 "지상파 중간광고 도입을 포함한 방송광고 규제 전반에 대한 제도개선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방통위도 지난 5월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중간광고는 허용 여부를 포함해 광고제도 전반의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민단체와 종편, 유료방송업계는 중간광고 도입에 반대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시청자의 시청 편의성과 방송 공공성이 훼손된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는 "중간광고 도입은 광고주의 영향력을 더욱 커지게 한다. 지상파들이 시청률 위주의 프로그램을 제작하게 돼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며 흥미 위주의 프로그램이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간광고 도입을 외치기 전에 지상파는 먼저 몸집 줄이기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최 교수는 "지상파는 자체 채널 이외에도 드라마·예능·스포츠 관련 케이블방송사(PP)들을 자회사 형태로 만들면서 조직규모를 키워왔다. 광고시장이 위축이 뻔히 눈에 보이는 상황에서도 덩치만 키워왔다. 그런데 이제와서 큰 몸집을 유지하기 힘드니 중간광고를 허용해달라 조르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내에 중간광고가 시행된 적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원래 지상파는 1974년 2월까지 중간광고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오일쇼크가 중간광고의 맥을 끊었다. 1973년 3월,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중간광고를 금지했고 그것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동표 기자 letme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