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유영민 미래부 내정자 "통신비 인하, 우리의 의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유영민 장관 내정자 "통신비 인하 추진"
기본료 폐지 등 다양한 통신비 인하책 강구
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방법 마련

유영민 미래부 내정자 "통신비 인하, 우리의 의무"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대통령께서 통신비 인하를 전제로 기본료 폐지를 말씀하셨다. 그 약속을 지킬 수 있게 하는 게 우리의 의무다."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는 14일 아시아경제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은 기본료 1만1000원 폐지로 돼 있는데, 속뜻은 가계 통신비 경감이라는 큰 틀을 가리켰다는 얘기다.


이에 유 내정자는 기본료 폐지 혹은 인하를 포함해 다양한 통신비 인하 방안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방법은 여러 가지"라며 "기본료 외에 단말기 할부금, 데이터 사용료 등 다양한 통신비가 있기 때문에 업계와 머리를 맞대고 면밀히 살펴 지혜를 짜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통신비를 경감시킨다는 약속을 지킨다는 전제 하에 '하우투(how to, 방법론)'에 대해 업계에 협조를 구할 것"이라면서 대신 "(정부가 업계에) 요청할 부분도 챙기겠다"고 덧붙였다.

유 내정자는 '4차 산업혁명 대응'의 핵심 부처가 된 미래부라는 점을 의식하면서 "4차 산업혁명 대응은 총체적으로 접근하면서 실체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는 4차 산업혁명 대응, 일자리 창출, 저출산 문제 해소 등을 국정 3대 우선과제로 삼은 바 있다. 이어 "국가 시스템, 국민의 삶, 산업 등 모든 부문에 걸쳐 접근이 필요하다"며 "산업적인 기반에서 봤을 때 일자리 창출 및 기업의 먹거리 확보 등 실제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미래부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슬로건인 '창조경제' 전담 부처여서 해체 1순위로 꼽혔으나 오히려 위상이 높아졌다. 차관 1명이 늘어나고 4차 산업혁명 총괄을 맡게 되는 등 힘이 실리는 모습이다. 차관급인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예산권을 갖고 국무회의에도 배석하게 된다.


유 내정자는 전날 공식 자료를 내고 "4차 산업혁명이라는 세계적인 변화가 시작되는 중차대한 시기에 중요한 소임을 맡게 되어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부족하지만 소명으로 생각하고 열심히 하겠다"고 다짐했다. 또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양질의 일자리와 먹거리를 만드는데 집중하겠다. 우리가 잘 해왔던 제조 분야에 R&D 역량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스마트 ICT를 융·복합해 실체가 있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참여, 공유, 개방의 흐름 속에서 과학기술인들의 자율과 창의를 존중하고 국가연구개발 예산의 체계적인 배분에도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 내정자의 목소리에는 의욕이 묻어났다. 아침 6시40분 이른 시각임에도 현안에 대해 하나하나 자세하게 설명하려 하면서 챙기고 해결하겠다는 뜻을 분명하게 밝혔다. 장관 내정 사실은 기자들의 전화를 통해 알게 됐다고 전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