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文 대통령, 대규모 인선 단행…'청문 정국' 정면돌파(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0초

文 대통령, 장관 5명·차관급 4명 추가 인선
"더는 미룰 수 없다"…국회 찾아 야당 설득
고른 지역 분포…대선캠프·대학 거친 전문가
장관급 7명 남아…여성 인재 대거 기용할 듯

文 대통령, 대규모 인선 단행…'청문 정국' 정면돌파(종합)
AD


[아시아경제 이민찬 기자, 이설 기자] 새 정부의 초대 내각 후보자 일부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한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장관 내정자 5명 등 9명의 공직후보자 인선을 단행한 건 국정 운영을 위해 더는 인선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야당의 의혹제기로 고조된 인사 청문 정국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의지도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문 대통령의 추가 인선에 따라 문재인정부 초대 장관은 18명 중 11명이 지명됐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후 탈권위 행보와 속도감 있는 개혁 작업으로 높은 지지를 받았으나, 초대 내각 후보자들에 대한 위장전입과 논문표절, 탈세, 거짓 해명 등 각종 의혹이 불거지면서 추가 인선이 지연돼 왔다.


특히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는 야당의 반대로 국회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이 지연되고 있다. 김부겸 행정자치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김현미 국토교통부,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등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는 오는 14~15일 예정돼 있어 인사 청문 정국은 더욱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달 10일 취임 이후 한 달 넘게 박근혜 전 대통령이 임명한 장관들과 국정을 운영해 왔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 주로 업무지시로 국정을 이끌었다. 그 사이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보고 누락 등 주요 이슈에 대한 혼선이 발생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이날 지명한 내정자들은 대선 캠프 등에서 활동해 줄곧 하마평에 오르던 인물들로, 전문성 뿐 아니라 개혁성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역적으로도 호남(김상곤)과 영남(안경환·조대엽), 충청(송영무), 서울(김은경) 등 고르게 기용됐다. 김은경 후보자를 제외하곤 모두 대학 교수 경험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아직 문 대통령이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지 않은 정부부처는 통일부, 미래창조과학부, 농림수산식품부, 보건복지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이다. 현재까지 지명된 내각 후보자들 중 여성은 3명에 그치고 있다. 이 때문에 추가 내각 인선에는 여성이 다수 기용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인선 다음날인 12일 국회를 찾아 야당을 설득하며 정국 돌파에 나선다. 문 대통령은 공공부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추가경정예산안의 국회 통과를 당부하고, 정권인수위원회 기간 없이 시작한 문재인정부의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내각 후보자들의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야당은 벌써부터 청와대를 향해 견제구를 날리고 있다. 김유정 국민의당 대변인은 이날 "최악의 실업률과 고용절벽에 대한 특단의 지혜로운 처방이 필요한 시점이지만, 깊은 고민 없는 추경안을 무턱대고 통과시킬 수는 없다"고 논평했다. 또 다른 야당 의원은 "문 대통령이 진정한 협치나 소통 노력 없이 명분 쌓기만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이민찬 기자 leemin@asiae.co.kr
이설 기자 sseo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