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고·재난 잦은 여름…'국민안전 100일 특별대책' 추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정부, 2일 안전정책조정실무회의 열어 결정

사고·재난 잦은 여름…'국민안전 100일 특별대책' 추진 [이미지출처=연합뉴스]붕괴된 가두봉피암터널 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정부가 사건 사고 재난이 낮은 여름철을 맞아 이달 1일부터 9월8까지 100일 동안 특별안전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2일 오전 정종제 안전처 정책실장 주재로 관계부처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안전정책조정실무회의를 열어 이같이 정했다.

각 부처들은 우선 이 기간 중 소관 재난안전사고별 특별대책을 수립·추진한다. 또 이달 중 지방자치단체들과 안전정책협의회를 개최해 특별대책을 공유하고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7~8월 중에는 여름 휴가철 안전 위협요소 집중 신고기간을 운영한다. 안전문화운동추진협의회 총회와 안전문화 세미나도 연다.

분야 별로는 여름철 자연재난 중점관리의 경우 가뭄, 폭염, 풍수해, 도시침수, 산사태 예방대책 등을 추진한다. 국민 생활 속 안전사고 예방대책으로는 야영장, 유원시설 등 행락시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실태 점검 및 종사자 안전 교육을 벌인다. 대형사고 발생우려가 높은 건설·조선 등 고위험 사업장 밀착관리를 실시하고, 취약요인·시기별로 기획감독을 실시한다. 집중호우시 저수지 제방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설상태를 상시 점검하고 시설물 보수·보강을 추진한다.


휴가철 동안 주요 관광지 교통량 집중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대형사고 유발 법규위반 행위 집중단속을 시행하며, 운수업체를 대상으로도 7~8월 중 국토교통부, 경찰청 합동으로 안전실태 합동점검을 실시한다.


전기·가스사고 예방을 위해 합동 점검반을 구성하여 대형사고 우려시설(빗물펌프장), 생활밀착형 취약시설(다중 이용시설, 공동주택 등), 안전관리 사각지대(레저시설, 가로·신호등 등)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점검한다.


여름철 물놀이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감소를 위하여 전국의 물놀이 지역(5,490개소) 및 위험구역(1,595개소)의 안전시설을 일제 정비하고, 안전관리요원 1만3751명을 배치한다. 날씨가 더운 여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하여 여름철 위생 취약분야를 집중 관리한다. 특히 고속도로 휴게소, 피서지 주변 조리?판매 업소와 여름철 다소비 식품에 대해 지도·점검 및 수거·검사를 강화 할 예정이다.


모기로 발생하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바이러스성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국내 매개모기를 지속 감시하고 위험지역 대상 집중모기방제를 실시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4일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해 전국 64개 지점에서 질병 매개 모기 채집 감시 중이다.


정종제 안전정책실장은 "분야별 안전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중앙 재난안전상황실을 24시간 비상근무체제로 운영해 안전한 여름철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