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실장·외교장관 후보자 북핵 대응 경험 전무
남북개선 의지 밝히자마자 北 미사일 도발
한미중 벗어나 유엔·다자기구 적극 활용은 긍정적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외교정책의 핵심축인 국가안보실장과 외교부장관 후보자의 북핵대응 역량이 지명 하루만에 도마 위에 올랐다. 정의용 안보실장과 강경화 외교부장관 후보자의 이력을 볼 때 북핵 해결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다. 특히 북한이 이들의 지명 직후 또 다시 미사일 도발을 감행하면서 북핵과 미사일 대응 역량은 더욱 중요해졌다. 야당은 특히 인사청문대상인 강 후보자에 대해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국회에서도 자질 논란이 빚어질 전망이다.
정 실장과 강 후보자가 외교의 핵심 현안인 북핵을 다룬 경험은 전무하다. 정 실장은 외교통상부 시절 통상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왔고 강 후보자는 유엔에서 10년 이상 근무하면서 다자외교와 인권문제에 역량을 집중해왔다. 강 후보자는 2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최우선 과제로 북핵 문제를 꼽았지만 "직접 다룬 경험은 없다"고 언급했다.
정 실장은 2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북핵과 남북문제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존 입장과 다소 다른 견해를 밝혀 주목받았다.
정 실장은 "북핵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지만 동시에 "남북관계야말로 우리가 주도해서 복원해야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언급한 것이다. '북핵문제가 해결돼야 남북대화가 가능하다'는 기존 입장과 다소 뉘앙스의 차이가 느껴진다는 점에서 우려의 시선은 더욱 짙어진 모양새다.
정 실장은 22일 아시아경제와의 통화에서 전날 이 같은 언급에 대해 "남북관계 개선의 대전제는 당연히 북핵 해결"이라면서 "너무도 당연한 거라 그 부분을 빠뜨리고 남북문제만 언급했던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청와대는 통일외교안보특보를 맡은 문정인 연세대 교수, 홍석현 한반도포럼 이사장 등이 보완재 역할을 할 것이라는 복안이다. 또 국가안보실 1,2차장 인선에도 북핵해결을 위한 전문가가 반영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외교부는 이미 북핵대응 시스템이 갖춰졌다는 점에서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22일 "북핵을 다룬 경험이 없는 분이 장관 후보자가 됐다는 점에 대한 우려를 들었다"면서 "하지만 유엔에서 한반도 인권과 인도지원 문제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왔고 업무 역량이 높은 만큼 이력이 크게 중요한 것 같지 않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서는 외교안보 수장 교체로 미국과 중국 중심의 북한문제 논의 구도가 다변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강 후보자의 주전공이 다자외교인 만큼 유엔을 활용한 북핵해법을 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외교부 관계자는 "북한인권 결의안과 북핵규탄결의안 모두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채택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다자외교가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