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진실 인양'까진 먼 길…"선체 절단은 증거 인멸행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초

23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세월호 인양 쟁점 토론회 열려

'진실 인양'까진 먼 길…"선체 절단은 증거 인멸행위"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세월호 인양·미수습자 수습·선체조사의 쟁점 토론회'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금보령 기자)
AD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세월호가 침몰 3년 만에 조금씩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만 '진실 인양'까지는 갈 길이 먼 것으로 보인다.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국민조사위원회, 4·16연대는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세월호 인양·미수습자 수습·선체조사의 쟁점 토론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정부는 여전히 미수습자 수습을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도 설명하지 않고 그 이후 선체 어디를 어떻게 조사해야 할지에 대한 계획도 갖고 있지 않다"라고 비판했다.

유가족들과 전문가들은 선체 절단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해양수산부는 미수습자의 수습을 위해 선체에서 객실 구역만 떼어낸 뒤 수색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장훈 4·16가족협의회 진상규명분과장은 세월호가 인양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절단을 먼저 얘기하는 건 옳지 않다는 생각이다. 장 분과장은 "유가족들은 세월호가 다 올라온 상태에서 미수습자 수습을 위한 진입이 도저히 불가능하면 그 부분은 절개해서 보자는 입장"이라며 "세월호 실물을 보지 않고 무조건 '자른다'는 말부터 나오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장 분과장은 세월호 인양에 대한 정부와 유가족의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에서는 인양의 목적을 미수습자 수습이라는 단 하나로 잡고 있다"라며 "미수습자 수습은 당연한 것이고 선체를 온전히 조사해 침몰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밝혀내는 것과 남아 있는 아이들의 마지막 모습과 유품을 찾아내는 것도 인양의 목적이다"라고 말했다.


박흥석 전 세월호특별조사위원회 조사관은 해수부가 선체를 절단하려는 것을 '적극적인 증거 인멸행위'로 봤다. 또한 선체를 절단하는 게 오히려 미수습자 수습에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다는 의견도 내놨다.


박 전 조사관은 "객실구역과 화물구역을 절단할 경우 절단 계선에 있는 C데크 내부에 존재하는 화물차량 등이 붕괴해 쏟아져 내릴 가능성이 매우 크다"며 "특조위 3차 청문회에서는 입찰에 참가한 업체 중 절단하지 않고 미수습자 수습이 가능하다고 한 경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세월호는 사고 원인을 말해줄 제 1의 증거물"이라며 "그 무엇이라도 유실되지 않도록 치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완익 전 특조위 비상임위원은 선체조사위원회와 관련해 우려를 표했다. 장 전 위원은 "선체조사 특별법의 시행령이 없는 상황에서 조사위는 빨라야 세 달 이후에나 활동할 수 있다"며 "세월호가 당장 인양되더라도 공백이 생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조사위는 직원을 50명 이내로 둘 수 있는데 행정업무를 보는 이들을 제외하면 조사할 수 있는 인원이 30명은 될까 싶다"며 "총 10개월의 조사 기간도 너무 짧다"고 덧붙였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