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강구귀 기자] 대우조선해양의 운명이 백척간두에 섰다. 오는 20일께 나오는 감사보고서를 통해 지원규모와 구조조정 방식이 결정된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포함한 모든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15일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주말께 대우조선 유동성 지원을 검토하기 위한 수치가 확정될 것"이라며 "감사보고서와 산은의 보고서를 토대로 대우조선 유동성 대응 방안을 만들고, 오는 23일에 나오는 지난해 결산을 반영해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조선은 산은, 수은의 남은 지원자금과 내부 유보금을 포함해 7000억원 가량을 모으면 내달 돌아오는 4400억원 규모 회사채 만기는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그다음 7월 3000억원, 11월 2000억원 등 내년까지 돌아오는 회사채 1조5000억원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은 연간 수주 전망 등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잡은 상황에서 2021년까지 부족자금 2조∼3조원이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당국이 발표할 방안으로는 채무부담을 전 사채권자가 나누는 방안이 유력하다. 국책은행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시중은행까지 대우조선 여신에 대한 출자전환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현재 산은은 이미 지난해 대우조선에 빌려준 돈 1조8000억원을 주식으로 바꿨는데, 연이어 추가 출자전환을 해야 하는 상황이다. 산은은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져)으로 여신부실을 지분으로 출자전환한 약 2조2000억원과 기존 여신 4조9000억원 등 7조1000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대우조선에 신규 자금 지원이 불가피하다면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외 시중은행은 물론 모든 관계자의 손실 분담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자율협약과 워크아웃에 갑작스럽게 돌입할 경우 선수금환급보증(RG) 콜이 쏟아질 가능성도 있다. 이 경우 발주사들과 대규모 소송 뿐 아니라 신규 수주도 사실상 포기한 채 기존 수주 잔량만으로 영업활동을 이어가야 한다.
강구귀 기자 ni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