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통령 파면]광화문 시민들 "촛불이 승리했다…국민이 헌법이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5초

[대통령 파면]광화문 시민들 "촛불이 승리했다…국민이 헌법이다"(종합)
AD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문채석 수습기자, 이승진 수습기자, 이설 수습기자, 정준영 수습기자]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이 결정된 10일 저녁 광화문과장에 모인 시민들은 대통령 파면 결정을 자축했다. 시민들은 "촛불이 승리했다" "국민이 헌법이다"고 외쳤다.

촛불집회 주최 측인 '박근혜정권퇴진 비상국민행동(퇴진행동)'은 이날 저녁 7시 광화문광장에서 '승리의 날 촛불문화제'를 열고 박 전 대통령의 파면을 환영했다.


집회 단상에는 "촛불이 승리했다"는 대형 현수막이 걸렸다. 또 주변에는 '이게 나라다' '이제 박근혜 구속', '국민이 헌법이다'는 손피켓이나 대형 깃발을 든 시민도 있었다.

이날 공식집회에 앞서 열린 사전행사부터 광화문광장 북측광장은 시민들로 가득찼다. 사전행사에서 시민들은 "촛불이 해냈다" "우리가 해냈다" "촛불이 이겼다" 등을 구호를 연호했다. 또 시민들은 검찰 수사를 촉구하며 "이제는 구속이다" "탄핵은 시작이다" "황교안도 퇴진하라"는 구호도 외쳤다.


그러나 집회는 비교적 차분하게 진행됐다. 시민들은 구호를 연호하면서도 탄핵 반대 측을 자극하거나 태극기 등 단어를 말하지 않았다.


이날 오후 6시부터 모여들기 시작한 시민들은 집회 시작시간인 7시를 넘어서자 급격히 늘어나났다. 이날 집회에는 주최측 추산 3만명이 모였다. 청소년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한 집회 참가자들은 입가에 미소를 띄고 서로 안고 기쁨을 나눴다.


본 행사 외에도 곳곳에서 퍼포먼스가 펼쳐지기도 했다. 우비에 LED전구를 달아 광장을 돌며 춤을 추던 '핵가무단'이 시민들과 함께 춤을 췄다. 또 일부 참가자들은 광화문역 출구와 가까운 광장에서 북과 꾕과리를 쳤다.


본집회에서 김종인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국민을 이기는 권력은 없다고 했다. 결국 국민이 이기고야 말았다"며 "나라를 위기로부터 구한 자랑스러운 여러분이 너무나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김덕진 퇴진행동 대외협력팀장은 "탄핵반대집회에서 사망자와 부상자가 많이 나왔는데 박 전 대통령이 진작 물러났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일"이라며 "그러나 다시는 이런 일이 없기를 바라면서 다시 한 번 고인의 명복을 빈다"고 애도했다.


이태호 퇴진행동 상황실장은 "어둠은 빛을 이길 수 없다. 거짓은 참을 이길 수 없다. 우리 모두가 주섬주섬 외쳐 부르던 그 작은 외침이 거대한 함성이 되었고 들불이 되었다"며 "저희는 그저 거칠기 짝이 없고 뻣뻣하기 이를 데 없는 마당을 열었을 뿐인데 1500만명의 시민들이 이 광장을 다양하게, 평화롭게, 따뜻하게, 그리고 무엇보다도 강인하게 이끌어주었다"며 촛불집회 주최측인 퇴진행동을 대신해 국민에게 감사인사를 전했다. 그는 이어 "이제 막 위대한 승리의 첫걸음을 내딛었을 뿐이며 너무 감상에 젖을 수도 없다"며 "이 거대한 특권체제를 바꾸려면 변화는 그리고 주권자의 주인 노릇은 광장에서만이 아니라 일상 곳곳에서 직장과 현장 곳곳에서 그리고 정치의 한복판에서 일어나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정성욱 4·16가족협의회 인양분과장은 "이번 탄핵에서 세월호 7시간이 빠졌다. 또한 인양도 되지 않았다. 아직도 저희들은 기다림에 있다"며 "3월15일부터 인양작업을 하는데 잘 안되면 4월로 넘어가 (참사)3주기의 그 트라우마를 다시 한번 겪어야 한다. 대선이라고 너무 거기에 집중하지 말고 아직 9분의 미수습자가 있는 세월호를 기억해달라"고 말했다.


[대통령 파면]광화문 시민들 "촛불이 승리했다…국민이 헌법이다"(종합)


오전 11시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보고 곧바로 청주에서 기차를 타고 서울로 올라왔다는 김모(70·남)씨는 "가슴에 맺혔던 응어리가 풀어졌다. 헌재가 진실을 밝혔다는 감격에 올라왔다"고 말했다. 이어 김씨는 "탄핵 인용이 됐다고 해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는 멈춰선 안된다"며 "앞으로 검찰이 더욱 열심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월호 참사 희생자 및 미수습자 광화문 분향소' 방문해 분향을 한 고등학교 3학년 김모군은 "수업 중에 선생님께서 탄핵이 인용됐다는 말을 듣고 수업 끝나고 나오게 됐다"며 "탄핵 인용은 당연한 결과이며 앞으로 입시위주의 교육체계가 변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는 약 두시간 가량 문화제 형태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별도의 행진 없이 소등과 레드카드 퍼포먼스와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를 합창하는 것으로 이날 집회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29일 1차 촛불집회 당시 광화문광장에 3만개의 촛불이 켜졌고, 11월12일 3차 집회에는 서울에서만 100만명, 전국에서 110만명의 시민들이 운집했다. 2016년의 마지막 날이었던 12월31일 집회까지 전국에서 촛불집회 누적 참가자 수는 1000만명을 넘어섰고, 이달 4일에 열린 19차 집회까지 총 1587만3000명을 기록했다.


퇴진행동은 내일(11일) 오후 4시에는 이곳곳에서 '모이자! 광화문으로! 촛불 승리를 위한 20차 촛불집회'를 개최하고 매주 열렸던 촛불집회를 종료할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는 가수 전인권, 한영애, 조PD, 허클베리핀, 뜨거운감자 등의 축하공연과 촛불승리 퍼포먼스 등이 펼쳐진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문채석 수습기자 chaeso@asiae.co.kr
이승진 수습기자 promotion2@asiae.co.kr
이설 수습기자 sseol@asiae.co.kr
정준영 수습기자 labri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