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전문가들, 환경 분야 정책에 5점 만점 중 1.48점 매겨...시간제 일자리 정책으로 비정규직 근로조건 하향 평준화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박근혜정부의 환경ㆍ노동 정책에 대해 '낙제점'이라는 지적이 잇따라 나왔다.
시민환경연구소는 지난해 현 정부의 환경ㆍ에너지 정책에 대해 100인의 전문가들에게 의뢰해 점수를 매긴 결과 5점 만점에 1.48점으로 평가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는 전년도 같은 조사의 2.2점보다도 훨씬 낮았다. 단 1점을 준 전문가가 57%로 가장 많았고, 2점 38%, 3점 5% 등의 순이었다.
분야 별로는 평균 2점 이상을 받은 정책은 단 한 가지도 없었다. 특히 '원전 안전 관리 정책'은 1.42점, '기후·대기정책'은 1.49점에 그쳐 가장 점수가 낮았다. 가장 잘한 정책으로 '고리1호기 폐로 결정'(61%)과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화관법) 제정'(49%)을 꼽았다. 반면 '신규 원전건설 추진'(62%)과 '가습기 살균제 등 생활 화학물질 관리 실패'(47%)는 가장 잘못된 정책으로 평가했다.
환경 현안과 관련해선 "4대강 보를 단계적으로 철거해야 한다"는 응답이 74%로 가장 많았다. 설악산 국립공원 정상 케이블카 설치 계획 중단'(61%)을 요구한 사람도 많았다. 차기 정부가 역점적으로 추진해야할 환경정책으로는 '4대강 보의 단계적 철거를 포함한 훼손된 강, 갯벌, 산림생태계 복원' 정책이 61%로 가장 많았다. 차기 정부에서 기후변화ㆍ에너지정책을 담당할 부서와 관련해 '기후변화에너지부 신설'을 꼽은 응답자가 69%로 가장 많았고, 환경ㆍ에너지정책을 모범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시ㆍ도로는 서울시(82%)와 제주도(43%)가 꼽혔다.
연구소 측은 "낙제점을 받은 환경ㆍ에너지정책을 되살려야 하는 차기 정부의 책임이 막중하다"며 "차기 정부의 환경·에너지정책이 성공하려면 무엇보다도 정보 독점과 폐쇄적인 의사결정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노동 정책에서도 비슷한 평가가 나왔다. 한국비정규노동센터는 이날 '통계로 본 한국의 비정규 노동자' 보고서를 내 현 정부의 시간제 일자리 정책이 열악한 일자리만 양산하는 등 '좋은 일자리 창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2016년 8월 기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를 분석해 보니, 전년대비 비정규노동자의 숫자가 7만명이나 늘어난 870만명에 달했다. 그나마 이마저도 임시파트타임 20만9000명 등 여성, 20대, 60~70대, 중소기업의 비정규 노동자 등 '질 나쁜 일자리'가 대부분이었다.
정규직 대비 비정규직의 월평균 임금 비율도 48.9%에 그쳐 2014년 49.7%, 2015년 49.5%에 이어 3년째 악화된 것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의 근속 기간도 2년 4개월에 불과하며 4대 보험 가입 비율은 32~39%에 머물고, 노조 가입비율도 1.8%에 그쳤다. 교육훈련 비율도 38.9%로 낮았다.
센터 측은 "시간제 일자리 정책으로 인해 노동시장 양극화가 고착화되고 비정규직의 근로조건이 전반적으로 하향평준화되고 있다"며 "비정규직 사용 사유 제한, 동일가치노동 동일임금, 노조 가입 보장, 사회보험 사각지대 해소 등 법적ㆍ제도적 보호강화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