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모든 학교가 외면한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0초

기한 닷새 연장했지만 반대여론 만만찮아


모든 학교가 외면한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지난달 31일 공개된 국정 역사교과서 최종본(사진: 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3월 새 학기부터 국정 역사교과서를 사용하겠다고 신청한 학교가 아직까지 단 한 곳도 나오지 않았다. 교육부는 신청기한을 당초보다 5일 연장하기로 했지만 반대 여론이 거센 상황에서 얼마나 많은 학교가 신청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9일 교육부에 따르면 당초 10일 마감할 예정이었던 국정교과서 연구학교에 현재까지 지원한 학교가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마감일을 15일까지로 연장하는 공문을 전날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에 발송했다.

교육부는 중학교 역사와 고교 한국사 국정교과서 최종본을 지난달 31일 공개하고 새 학기가 시작되는 다음달부터 희망하는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해 우선 사용하도록 할 예정이었다. 연구학교에는 교원 승진 가산점과 학교당 1000만원을 지원하겠다는 조건도 내걸었다.


그러나 17개 시ㆍ도교육청 가운데 대다수가 교육부의 국정교과서 강행 방침에 반발해 연구학교 신청 절차에 협조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교과서 최종본 또한 공개되자마자 내용에서 크고 작은 오류가 확인되는 등 부실 제작ㆍ검증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일선 학교 현장에서는 국정교과서 자체에 대한 반감과 부정적 여론, 시도교육청의 비협조, 계속되는 내용 오류 논란 등으로 연구학교 신청에 큰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교육부는 각 학교의 응모기간은 5일 연장하고 교육청의 심의기간도 당초 11∼15일에서 15∼17일로 수정했다. 교육부는 그러면서도 일부 국립 중ㆍ고교를 연구학교로 강제 지정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8일 국회 교문위 전체회의에 출석해 "현재 방학 중이라 의견 수렴에 시간이 걸리는 것 같다"고만 답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