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中 환율전쟁 '새우등' 한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트럼프 엄포에 中 긴축 모드로…원·달러 환률 한달새 70원 떨어져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우리나라 금융시장이 내우외환(內憂外患)에 시달리고 있다. 외환시장의 민감도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각종 미국발(發) 이슈에 크게 출렁이면서 환율은 석 달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긴축 모드로 들어간 중국의 통화정책 역시 국내 금융안정을 위협하는 요소로 떠올랐다.

6일 서울외환시장에 원ㆍ달러 환율은 1138.0원에 개장했다. 전거래일보다 9.6원 내린 수치로, 지난해 11월9일(1129.0원 개장) 이후 가장 낮다. 지난 달 초만해도 1210원 초반대까지 올랐던 환율이 약 한 달 만에 70원가량 떨어진 것이다.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전 세계 주요국 통화 중 두 번째로 많이 올랐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올해 들어 5.2% 올랐는데, 이는 6.2% 오른 호주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컸다. 엔화와 유로화는 각각 3.3%, 2.6% 올랐다.


이날 원ㆍ달러 환율 상승에는 미국의 고용지표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1월 미국의 비농업부문 고용은 22만7000명(계절조정치)으로 시장 예상치인 17만∼19만명을 웃돌았지만 민간부문 시간당 임금은 전월대비 3센트(0.12%) 오른 26달러에 그친 것이다.

서정훈 KEB하나은행 연구위원은 "지난 주말 고용지표가 호조로 나왔지만 임금상승률이 부진하면서 '취업은 했어도 소득은 늘지 않았다'는 결론이 나왔다"며 "실질적으로 소비에 도움이 안 되는 결과로 시장의 실망감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외환시장은 이처럼 미국의 각종 지표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1일에는 올해 첫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금리인상에 대한 언급이 없으면서 1150원대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이에 원ㆍ달러 환율의 일중 변동폭은 지난해 12월 6.0원에서 지난달 7.7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트럼프 미국 정부가 중국을 '환율전쟁'의 타깃으로 삼으면서 그 여파가 우리나라에 미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이달 초 춘제 연휴 후 첫 개장한 3일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을 달러당 6.8556위안으로 고시했다. 전거래일보다 0.05% 낮춘 것인데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위협에 위안화 가치를 소폭 절상했다는 분석이다.


중국의 경우 최근 통화정책 기조를 완화에서 안정으로 한 발짝 '긴축'으로 움직여왔다. 인민은행은 지난달 금융기관의 중기유동성지원창구 금리를 10bp(1bp=0.01%포인트)인상했고, 광의통화(M2)와 단기금리를 운용수단으로 활용하는 등 시장원리에 입각한 통화정책 등 시장원리에 입각한 수단을 도입했다. 성장이 위축되면서 내부적으로도 변화를 도모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미국과 중국의 행보에 국내 경제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미국의 '달러 강세 누르기'는 원화와 위안화의 절상을 불러 결국 국내 경제성장률에서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도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원화와 위안화가 10%씩 절상되면서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낮아지고, 우리 경제성장률이 오는 2019년까지 매년 0.4~0.7%포인트 깎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