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로 승부…은퇴자 세무·법률자문 원스톱 관리
[대담=아시아경제 조영신 금융부장, 정리=강구귀 기자] "프라이빗 뱅킹(PB) 문턱을 낮춰 시중은행과 본격적인 경쟁을 하겠다."
이원태 Sh수협은행장은 미래 먹거리 전략으로 자산관리를 내세웠다. Sh수협은행은 지난해 12월 수협중앙회에서 분리ㆍ독립한 은행이다.
이 행장은 올해 1분기 중 PB고객 기준을 기존 수신잔고 1억원에서 2000만원으로 대폭 낮추겠다고 했다. 이는 시중은행 중 가장 낮은 기준이다.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이 3000만원 이상을 PB고객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고객을 유치하겠다는 틈새전략이다. 이를 위해 20여개 점포에서 시범 실시하던 PB서비스를 122개 전 점포로 확대한다고 이 행장은 설명했다.
은퇴 예정자 및 은퇴자를 대상으로 자산 전체를 관리해주는 실버금융도 확대한다. 귀어귀촌이나 수산관련 업체 재취업 등 은퇴설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21년 직원 1인당 생산성을 선도은행 수준인 1억1000만원까지 끌어올리고, 총자산 34조9000억원, 세전당기순이익 1700억원을 내는 강소은행으로 거듭나겠다는 것이 이 행장의 포부다. 사업계획 기준 지난해 총자산 28조4000억원, 세전당기순이익 800억원과 비교하면 비약적인 성장이다.
Sh수협은행은 매년 700억~900억원씩 공적자금을 순차적으로 상환한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수협은행이 수협중앙회에 배당하는 방식으로, 공적자금 상환 의무는 수협중앙회가 지게 된다. 다음은 이 행장과의 일문일답.
▲신사업으로 실버금융을 내세웠다.
-나이가 들고 은퇴가 임박하거나 은퇴한 고객을 대상으로 자산을 통째로 은행에 맡기면 잘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려고 한다. 세무, 법률자문까지 한번에 할 수 있는 원스톱(One-Stop) 서비스다. 저성장ㆍ저금리 기조가 상당기간 오래 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은행도 예대마진만으로는 한계다. 새로운 비이자사업이 필요한 이유다.
▲직원 생산성을 높이는 복안은.
-수도권 83개 등 전국에 점포가 122개에 불과하다. 예금보험공사와 MOU(경영협약)로 인해 ▲국제결제은행(BIS)비율▲총자산순이익률(ROA)▲판매관리비용율▲1인당조정영업이익▲순고정이하여신비율 등 5개지표에서 매년 일정이상 충족해야 하다보니 1년에 점포를 2개 밖에 열지 못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의 은행자본규제기준인 바젤Ⅲ 자본규제 도입에 따라 외부에서 자금조달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여전히 공적자금을 갚기 위한 예보의 제약이 있는 상황이다. 조직문화를 바꿔 생산성을 높일 계획이다.
▲수협중앙회와 수협은행간 새로운 관계 형성이 필요한 것 같다.
-자본금을 확충해 보다 많은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상황이다. 수협중앙회 등 관련 기관의 기대에도 부응해야 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아울러 수산업협동조합 지원 기능을 강화해 협동조합 지원은행으로서 역할은 계속할 것이다. 수산정책자금 공급 등 수산금융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수협조합의 정보기술(IT) 부문을 지원하고, 공제상품 판매, 신용카드ㆍ외환 위탁업무 등을 지원한다.
▲인터넷전문은행이 출범했다. 모바일 전략은.
-수협은행은 모바일 전략 속도를 조절하려고 한다. 영국이나 일본의 인터넷전문은행이 시장에 안착하는데 5년 이상 걸렸다. 전통적인 은행의 신용창출이 부족해서다. 모바일뱅킹을 고도화하겠지만 단순히 시중은행이나 인터넷전문은행의 전략을 따라가는 수준으로는 안 된다. 적어도 다른 어떤 것이 있어야 한다. 또 해킹 등 보안위험이 있는 만큼 이 부분도 준비하겠다.
▲해외시장 진출은.
-중국ㆍ인도네시아ㆍ인도에 대해 시장 파악을 위해 올해 인력을 보내려고 한다. 동남아 지역이 앞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으니 미리 조사하는 차원이다. 결과를 가지고 다시 판단할 것이다. 수협중앙회가 중국에 수출하기 위해 사무소 3개를 연 만큼 수산물수출 지원 등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공적자금 상환 일정은.
-수협법 개정으로 공적자금 상환 주체가 수협은행에서 수협중앙회로 변경됐다. 수협은행이 수익을 수협중앙회에게 주면 수협중앙회가 갚는 구조다. 매년 1000억원 이상을 갚아나가면 2028년까지 공적자금의 대부분을 갚을 것으로 예상된다. 추가 자본확충이 없더라도 올해 세전 수익은 1300억원이 예상된다. 이중 700억~800억원 가량을 갚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01년 정부로부터 공적자금 1조1581억원을 지원받은 것에 대한 상환은 시간의 문제인 만큼 전혀 걱정하지 않는다.
◆약력 ▲1953년생 ▲경북대 경영학과 ▲영국 서섹스대 대학원 ▲행정고시 24회 ▲경제기획원 경제기획국 ▲재경경제원 대외경제국, 벨기에 대사관 겸 EU 대표부 재경관, 관세제도과장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관, OECD 서울센터 파견 조세본부장 ▲기획재정부 관세정책관 ▲예금보험공사 부사장 ▲Sh수협은행 은행장
강구귀 기자 ni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