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0명 중 6명 "계층 상향 이동 가능성 비관적"

시계아이콘00분 5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10명 중 6명 "계층 상향 이동 가능성 비관적" 소득계층별 금융부채 보유가구 비율 및 가구당 보유액(자료:통계청)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국민 10명 가운데 6명이 계층 상향 이동 가능성에 대해서 비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최하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가구가 전체의 20%를 차지했다.

고소득층에서 부채보유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지만 부채상환부담은 고령자층에서 빠르게 늘고 있다.


12일 통계청에서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6'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의 규모는 2012년 말 963조원에서 2016년 6월말 현재 약 1257조원으로 증가했다.

가계부채 증가율도 전년 대비 2012년 말에는 5.2%에서 2015년 말 10.9%로 두배 이상 증가했으며, 2016년 6월말에는 전년 동기대비 11.1%로 증가세가 커지고 있다.


특히 고소득층에서 부채보유 가구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저소득층은 2분위 소득층의 상환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소득이 높을수록 컸다. 부채보유가구 비율은 저소득층은 1분위에서 2013년 29.0%에서 2016년 25.8%로 줄어든 반면, 최고 소득층인 5분위는 같은 기간 72.6%에서 71.3%로 근소하게 줄었을 뿐이다.


가구당 부채액도 1분위는 2013년 759만원에서 2015년 797만원으로 늘었지만, 5분위는 9019만원에서 9850만원으로 크게 늘었다.


가계의 실질적인 부채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부채규모가 작은 2분위 가구의 상환부담이 오히려 가장 컸다.


10명 중 6명 "계층 상향 이동 가능성 비관적" 가구주의 세대간 계층이동 가능성에 대한 인식(자료:통계청)


연령별로는 경제활동이 왕성한 40대와 50대가 금융부채보유액이 많은 반면 사회진입기인 20대와 은퇴시기인 60대는 보유액도 적고 보유율도 낮았다. 또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40대가 가장 높고, 60세 이상 고령자는 상환부담이 빠르게 증가했다.


지난 20년간 최하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12%대에서 20% 내외로 증가한 반면, 중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 가구는 60%대에서 53%로 감소했다.


세대내 계층적 상향 이동가능성에 대해 20년 전에는 낙관론자가 10명중 6명이었지만 최근에는 비관론자가 10명중 6명이었다. 2015년에는 근로 연령대인 30-40대는 10명중 7명이 비관적이었다.


노동시장은 사업체규모에 따라 복지 수준 차이가 컸다. 사회보험가입률은 300인 이상 사업체는 95.0%에 달하지만 1~9인 사업체는 40.8%로 절반에도 못 미쳤다. 노동조합가입률도 300인 이상 사업체의 경우 38.4%에 달하지만 1~9인 사업체는 1.5%에 불과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