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연평도 포격도발 6주기… 해병대, 23일 포격도발 상기훈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해병대사령부는 23일 오전 11시 대전현충원에서 연평도 포격 도발 6주기 추모행사를 거행한다.


'조국의 수호신으로 영원히 살아 숨쉬다'라는 주제로 열리는 행사에는 포격 도발 당시 전사한 고(故)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의 유가족과 전상자, 참전장병, 이상훈 해병대사령관 등 200여 명이 참석한다.

행사는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영상물 상영, 헌화ㆍ분향, 추모사, 추모공연 등의 순서로 진행되며 본 행사에 앞서 현충탑 참배와 전사자 묘역 참배가 이뤄진다.


추모공연은 서정우 하사의 모교인 문성중 학생들의 추모헌시 낭독, 해병대 군악대 중창단과 극동방송 어린이 합창단의 합창으로 꾸며진다.

연평도 포격 도발과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을 통합한 '서해 수호의 날'이 제정되면서 지난해까지 정부 행사였던 연평도 포격 도발 추모식은 올해는 해병대 주관으로 열린다.


해병대는 앞서 지난 16일 문광욱 일병의 고향인 군산에서 흉상제막식을 진행했고 23일에는 유가족 및 참전장병을 대상으로 감사 오찬 행사를 할 예정이다.


해병대는 11월 한 달을 '해병대 전승의 달'로 지정, 지휘관 특별 정신교육을 하고 서북도서방위사령부(서방사)가 주관하는 통합훈련을 실시한다.


통합훈련은 서방사를 비롯해 백령도 해병대 6여단과 연평부대 등 서북도서 부대가 참가해 화력도발과 기습상륙, 무인기 도발 등 북의 다양한 도발을 상정해 실시하는 지휘소 훈련이다.


특히, 23일에는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시간(오후 2시 34분)과 양상을 적용해K-9 자주포와 스파이크 미사일의 사격절차 훈련, 주민 대피 안내 훈련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북한군은 2010년 11월 23일 우리 해병대의 해상사격훈련에 반발해 연평도를 무차별 기습 포격했다. 이 포격으로 우리 군 장병 2명이 전사하고 민간인 2명이 희생됐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