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디즈니가 트위터 인수 포기한 이유는? '트롤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트위터의 논쟁과 비꼼 가득한 '트롤링' 분위기가 문제
디즈니의 가족 친화적 이미지와 맞지 않아


디즈니가 트위터 인수 포기한 이유는? '트롤링'
AD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디즈니는 트위터에서 일어나는 언어폭력과 논쟁 등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최종적으로 인수를 포기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트롤링(trolling)'을 비롯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디즈니가 인수를 포기했다고 분석했다. '트롤링'은 배 뒤에 미끼를 걸고 물고기를 모으는 트롤링 낚시처럼, 다른 사람들이 화를 낼만한 행동을 의도적으로 하며 분쟁을 유도하는 행위를 뜻한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온라인 PC게임 리그오브레전드에서 흔히 사용되며 널리 퍼졌다.

거대 미디어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디즈니는 트위터 인수릉 위해 투자 은행 2곳을 고용해 트위터의 잠재 가치를 평가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트위터의 이 같은 부정적인 이미지가 디즈니의 가족 친화적인 기업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판단, 끝내 인수를 포기했다는 분석이다.


트위터 내부에서도 트롤링은 골치 아픈 문제다. 많은 유저들이 트롤링 행위를 벌이고 논쟁을 벌이는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커지면서 그들만의 리그로 전락하고 있다. 특정 단어를 언급하는 이용자를 차단하는 기능을 마련하는 등 자체적인 개선책을 내놓고 있지만 좀처럼 트위터의 분위기는 변하지 않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한 때 페이스북과 SNS 시장을 양분했던 트위터의 입지도 크게 줄었다. 현재 트위터의 이용자 수는 3억1300만 명으로 10억 명이 넘는 페이스북의 3분의 1 수준이다. 글로벌 소셜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 선에 머무르고 있다. 광고주들도 트위터보다는 페이스북이나 젊은 층 위주인 5년차 SNS 스냅챗에 비용을 쏟아붓고 있다는 평가다.


잭 도시 트위터 최고경영자(CEO)는 이러한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트위터를 매물로 내놓았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디즈니, 세일즈포스 등 다양한 기업들이 트위터에 관심을 가졌지만 대부분의 기업이 등을 돌린 상태다. 트위터 현재 주가는 올초 대비 24% 하락했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