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부채비율이 300%를 넘는 한계기업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외부감사대상기업 2만4392개 중 이익창출능력이 크게 취약한 한계기업은 2014년말 3229개에서 2015년말 3278개로 소폭 증가했다. 전체 외부감사 대상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같은 기간 중 14.3%에서 14.7%로 다소 높아졌다.
특히 한계기업 중 부채비율이 300% 이상인 기업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5년말 현재 32.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24.8%였던 한계기업 중 부채비율이 300% 이상인 기업 비중은 2011년 26.7%로 오른 후 2012년과 2013년, 2014년 29.1%, 30.3%, 31.5%로 매년 증가 추세다.
한계기업은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 3년 연속 100% 미만이 안되는 기업으로, 재무구조가 부실해 영업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금융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이른바 '좀비기업'을 뜻한다.
한은은 조선, 해운 등 취약업종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한계기업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것은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부채에 의존해 연명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으로 추정했다. 작년 6월말 현재 한계기업에 대한 은행의 신용공여액은 총 118조6000억원에 달한다. 이 중 일반은행이 45조4000억원을 보유하고 있고 특수은행은 73조2000억원을 보유 중이다.
정부의 정책자금 지원이 이들의 구조조정을 지연시켰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 조선, 해운, 건설, 철강, 석유화학 등 5개 취약업종에 대한 특수은행의 신용공여는 51조2000억원으로 일반은행(19조1000억원)의 2.7배에 달한다.
한은은 "영업환경이 호전되지 않는 한 한계기업의 재무구조 안정성은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며 "이들 기업의 재무건전성 악화가 금융시스템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