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올들어 5월까지 보험, 상호금융, 저축은행 등 2금융권의 가계대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조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증가분의 4배에 육박한다. 금융당국이 올들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을 규제한 데 따른 '풍선 효과'(한쪽을 막으면 다른 쪽이 부풀어오르는 현상)가 뚜렷해진 것으로 풀이된다.
30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보고한 업무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5월20일까지 2금융권의 가계대출은 15조9000억원 늘어났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의 증가분 4조3000억원보다 3.7배나 많은 규모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이 크게 늘었다. 올들어 5월까지 제 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7조2000억원 늘어나 제 2금융권 전체 대출 증가분의 45%를 차지했다. 지난해의 경우 2금융권 주담대 증가분 비중은 비은행권 가계대출 증가분의 2.3%에 그쳤다. 작년의 경우 이 기간 안심전환대출 출시와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하락 등으로 가계대출 수요가 은행권으로 집중됐다. 실제 3월말 안심전환대출 출시 후 4월과 5월 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3000억원, 2000억원이 각각 순감했다.
하지만 올해는 은행권의 여신심사 강화 조치로 상황이 확 바뀌었다. 실제 작년 1분기 6000억원에 그쳤던 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올해 3조9000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작년 역신장세를 보였던 4월과 5월 2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은 각각 2조1000억원(4월), 1조2000억원(5월)으로 급격히 불었다. 은행권의 여신심사 강화 후 대출 수요자들이 2금융권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가 뚜렷하게 발생한 것이다.
비은행금융사의 대출 금리는 은행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다. 지난달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 금리는 연 15.22%(신규취급액 기준)로, 예금은행 가계대출 금리 연 3.16%의 4.8배에 달한다. 2금융권의 빚이 가계부채의 약한 고리가 될 수 있다.
가계부채의 높은 증가세에도 금융시스템 위기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하지만 은행에서 밀려 제2금융권을 찾는 가계가 상대적으로 신용 취약계층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부실위험에 대비해야 한다는 우려가 높다.
한은이 가계부채 점검반의 운용과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 확충 등을 통해 가계부채 상황을 상시 분석하며 정책대안을 모색하기로 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한은은 가계부채를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해 연령별ㆍ지역별ㆍ신용등급별 등으로 세분화 시킨 미지지표를 개발해 금융안정 통계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또 거시경제금융회의, 가계부채 관리협의체 등을 통해 국내외 금융불안 요인 및 주요 현안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공동 대응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이밖에 그림자금융통계, 상세자금순환표 등 금융안정 관련 통계의 개발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include $docRoot.'/uhtml/article_relate.php';?>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