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우디, 이란 배제한채 산유국 회의 준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아시아경제 박병희 기자] 내달 17일(현지시간) 카타르 도하에서 진행될 산유국 회의에서 결국 이란은 빠질 것으로 보인다.


22일 파이낸셜 타임스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란을 배제한 채 내달 도하 회의에서 산유량 동결 합의를 준비하고 있다고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한 고위 관계자가 밝혔다.

세계 주요 산유국들은 내달 도하 회의에서 산유량 동결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달 사우디아라비아·러시아·카타르·베네수엘라 4개국이 1월 생산량 수준에서 산유량을 동결키로 한 합의가 확대될 수 있다. 지난주 카타르의 모하메드 빈 살레 알-사다 에너지 장관은 OPEC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포함해 약 15개 산유국들이 산유량 동결을 지지했다고 말했다. 이들 15개국은 세계 원유 생산의 3분의 2 가량을 차지한다.


산유량 동결 합의와 관련한 최대 변수는 이란이다. 이란은 최근 서방의 경제 제재 조치에서 풀리면서 3년여만에 유럽에 원유 수출을 재개해 당분간 산유량을 계속 늘리겠다는 입장이다. 이란은 1월에 하루 337만배럴의 원유를 생산했는데 400만배럴까지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일부 OPEC 회원국들은 이란이 산유량 동결에 참여하지 않으면 동결 합의를 진전시킬 수 없다는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란의 산유량 동결 문제와 관련해 압달라 엘-바드리 OPEC 사무총장은 "이란도 향후 언젠가는 산유량 동결에 참여할 것"이라며 "이란의 원유 생산에는 몇몇 조건이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1월 수준에서 동결하는 것은 원유 수급 개선효과가 크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미 1월당 산유량 자체가 사상 최대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OPEC 관계자는 1월 수준에서 산유량을 동결할 가능성이 높지만 1~3월 시장 상황을 살펴보고 더 많은 논의를 할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가 OPEC 회원국들과 논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사우디와 러시아의 관계도 발전했다고 말했다.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병희 기자 nut@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