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주한미군 배치검토 사드의 관건은 '레이더'

시계아이콘01분 1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주한미군 배치검토 사드의 관건은 '레이더' 사드 미사일.
AD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가 배치를 놓고 기류가 심상치 않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사드배치 문제에 대해 "미국측 요청이 없었기 때문에 협의도, 결정도 없었다"라는 '3(NO)' 입장을 유지해왔지만 '안보상황에 따라 검토한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다.


한반도에 사드가 배치된다면 종말단계 요격용(TBR) 레이더 모드로 운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문가들은 관측하고 있다.

사드 체계의 핵심장비인 AN/TPY-2 고성능 X-밴드 레이더 하나가 탐지거리 1천200㎞의 전방전개 요격용 레이더(FBR)와 탐지거리 600여㎞의 TBR 두 가지 모드로 운용된다.


탄도미사일의 발사와 상승 경로를 추적할 때는 FBR 모드가 필요하고, 하강 경로에서는 TBR 모드를 운영한다. 그러나 FBR에서 TBR로 조정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만약 주한미군에 사드가 배치되면 북한의 탄도미사일 요격이 목적이기 때문에 탐지거리 600여㎞의 TBR 모드로 고정해 운영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남한지역에 배치된 사드의 용도가 중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겨냥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굳이 1천200㎞의 장거리 탐지용 FBR 모드로 고정해 놓을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FBR 모드는 미일 미사일방어체계(MD)가 가동되는 일본에서 운용하고 있다.


사드 체계를 오래 연구해온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장은 "사드는 국외 배치된 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미국 육군이 개발한 무기로서 '종말단계' 즉 즉 자신을 공격해오는 상대의 탄도미사일은 요격할 수 있지만 다른 목표를 향해 비행해 나가는 탄도미사일을 중간에서 요격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사드의 최대 사거리는 200km이고, 요격 고도는 150km 정도에 불과하다"면서 "중국이 미국을 향해 발사하는 ICBM의 고도는 대부분 1천km 이상이기 때문에 사드 요격미사일의 사거리를 초과한다"고 설명했다.


사드 배치 후보지로 거론되는 평택이나 대구, 칠곡 등 어느 곳에 배치한다고 해도 중국의 ICBM을 추적하거나 요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박 원장은 "더욱 중요한 사실은 중국의 ICBM은 모두 내륙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이 미국을 공격한다면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상공을 경유하지 한국 상공을 경유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사드 레이더는 한번 모드를 조정해 놓으면 단시간 내로 조정하기 어렵고 고정식이어서 레이더 방향을 필요할 때마다 바꿀 수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을 추적하기 위해 북한 방향으로 지상에 설치한 레이더를 중국 방향으로 즉각 바꿔 운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중국이 주한미군에 사드를 배치하더라도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사드가 주한미군에 배치되면 결과적으로 한국이 MD체계에 들어가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주변국의 반발을 초래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사드 1개 포대는 6대의 발사대와 AN/TPY-2 고성능 X밴드 레이더, 화력통제 시스템 등으로 구성된다. 발사대 당 8발의 미사일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1개 포대는 모두 48발의 미사일로 구성된다.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