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기업구조조정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조직을 신설한다.
금융연구원은 3일자로 기업부채연구센터를 신설키로 하고 이명활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센터장으로 선임했다고 2일 밝혔다. 가계부채와 함께 한계 기업의 기업부채가 미국 금리 인상시 한국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데 따른 조치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외부감사를 받는 비금융법인 2만5452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기업 중 한계기업(이자보상비율 3년 연속 100% 미만 기업) 비중은 2009년 12.8%(2698개)에서 2014년말 15.2%(3295개)로 증가했다. 문제는 이들 한계기업이 저금리의 장기화에 힘입어 차입금을 오히려 늘리며 생존을 이어가고 있다는 데 있다. 2009~2014년 중 일반기업의 부채비율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지만 한계기업의 부채비율은 되레 상승했다. 비한계 기업의 부채비율은 2009년 107.0%에서 2014년 81.8%로 하락했다. 반면 같은 기간 한계기업의 부채비율은 171.1%에서 238.5%로 늘었다.
때마침 대기업의 연체율도 높아졌다. 국내은행의 대출채권과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7월말 기준 대기업대출(원화) 연체율은 0.84%로 전달 보다 0.16%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중기대출 연체율(0.90%)과 맞먹는 수준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금리인상이 현실화 된다면 한계기업의 위험 수위는 그만큼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최근 금융당국에서 기업부채의 현황을 점검하기로 한 것도 기업 구조조정의 위험신호가 뚜렷해졌다는 점을 방증한다.
기업부채연구센터는 앞으로 국내 기업부채 현황과 기업부채와 관련해 우려할만한 사안 여부 등을 분석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산업별 부채 특성이나 업황이 어려운 산업의 기업부실 우려, 국가별 의존도에 따른 산업별 기업부채 현황, 기업부채가 금융기관에 미치는 영향이나 잠재적 위협여부 등을 들여다 볼 예정이다. 또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예측력을 높일 수 있는 조기경보시스템과 같은 모형을 구성해 기업부채의 해결책도 제안할 방침이다.
금융연구원 관계자는 "조선과 건설 등 산업 전반에서 위험신호가 나타나고 있다"며 "기업 부채는 물론 관련 금융 체계 개편 등까지 포함해 기업구조조정 시스템을 점검할 필요가 있어 연구센터를 신설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