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중국 인터넷 보급률 45.8%…이용자 6억1800만명 달해
시장규모 약 6004억 위안…모바일인터넷서비스 20% 차지
BAT(바이두ㆍ알리바바ㆍ텐센트) 글로벌 기반 확대 '파죽지세'
한국 주도형 상호보완적 산업관계 구축 노력 필요
[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글로벌시장에서 파죽지세로 도약하고 있는 중국 인터넷서비스기업들의 원동력은 해외상장을 통해 획득한 자본을 바탕으로 활발한 인수합병(M&A)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기술역량을 확보하고 시장을 개척하는 데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의 인터넷서비스의 발전은 한국 인터넷생태계의 장기발전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어 위협으로 작용하게 될 수 있다는 우려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발간한 '중국 인터넷서비스산업의 발전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소위 'BAT'라 칭해지는 바 이두(Baidu),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의 현황과 사례를 통해 중국 인터넷서비스기업이 서비스 저변을 넓혀나가며 글로벌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인터넷 보급률은 2013년 45.8%로 늘어나고 6억1800만명의 이용자층이 형성되면서 중국의 인터넷시장은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인터넷서비스 시장 규모는 2013년 기준 약 6004억 위안으로 그중 모바일인터넷서비스의 규모가 약 20%를 차지했다. 광활한 내수시장과 모바일인터넷의 빠른 발전은 중국 인터넷기업들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뒷받침이 돼 주고 있으며 탄탄한 내수를 바탕으로 중국 인터넷기업들은 순조롭게 해외상장을 달성하며 글로벌 기반을 확대해 왔다.
김성옥 KISDI 국제협력연구실 부연구위원은 "지난 9월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가 약 250억달러로 나스닥에 상장을 감행하면서 글로벌 플랫폼으로서 중국 인터넷기업의 성장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텐센트와 바이두는 그 이전에 이미 해외상장을 완료했고 파죽지세의 발전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부연구위원은 "이들은 해외상장을 통해 획득한 자본을 바탕으로 활발한 M&A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단숨에 기술역량을 확보하고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며 "이 같은 경로는 중국 기업들이 자본력을 바탕으로 현지 시장과 기술을 단번에 섭렵해 도약적 발전을 꾀할 수 있는 가장 큰 동력으로 작용한다"고 강조했다.
이들 기업은 각각 내수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검색, 전자상거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플랫폼을 중심으로 모바일게임 등 다양한 콘텐츠를 확보하고, 사업 부문을 확장해나가고 있으며 온라인결제, 인터넷금융, 하드웨어(HW)-소프트웨어(SW) 생태계 구축, O2O(Online to Offline), 스마트카 등 각종 신산업분야에 뛰어들면서 혁신의 층위를 한층 높여가는 중이다.
중국 인터넷서비스산업의 발전 과정에서 한국은 중국 해외진출의 교두보이자 테스트베드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중국은 한국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콘텐츠와 기술력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투자와 인수합병을 감행하고 있는 중이다.
보고서는 이는 한국에게 기회이자 위협으로 작용하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회는 우리 중소 개발업체들의 투자부족 문제 해소, 중국 플랫폼을 통한 중국 및 글로벌 진출 경로로 활용할 수 있지만 이런 경로를 통해 한국의 대중국 의존도가 높아지게 돼 우리 인터넷생태계의 장기 발전에 심각한 장애요인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위협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위협을 방지하고 상호보완적인 산업관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자본과 플랫폼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한국이 좀 더 주도적이며 적극적으로 관계 정립에 나서 우리에게 유리한 협력모델을 선(先)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또한 대내적으로는 건전한 인터넷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보완하고 더욱 강력한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이에 대한 구체적 대응방안으로 ▲중국 인터넷기업의 풍부한 자금력을 활용한 국내 유망 중소벤처의 성장과 벤처투자 회수 유도 ▲중국 인터넷 플랫폼 기업과 국내 콘텐츠, 디바이스 업체 간 협력을 통한 해외진출 ▲중국 인터넷 강소기업 분석 및 적극적 투자를 통한 대중국 의존도 감소 및 중국 시장 진입기회 기반 확보 ▲미래산업분야 선점을 통해 주도적 산업관계 창출 등을 제시했다.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