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천덕꾸러기' 우이천, 자연생태하천으로 거듭났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서울시, 우이천 하천정비 공사 완료...하루 3만t 물 흐르는 자연생태하천으로 조성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건천으로 죽어가던 서울 동북권역의 대표적 하천인 우이천이 하루 3만t의 깨끗한 물이 흐르고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자연 생태하천으로 되살아나 시민들의 품으로 돌아왔다.


서울시는 지난 2010년 3월 착공한 '우이천 하천정비공사'가 지난달 말 완료됐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시는 하천 주변에 한강시민공원으로 바로 이어지는 자전거도로와 산책로를 연결하는 횡단교량 5개소를 설치했다. 휴식공간 체육시설 등 각종 주민 편의시설도 대폭 확충됐다.


우이천은 북한산에서 발원되어 강북구, 성북구, 도봉구, 노원구 등 4개구를 가로질러 중랑천에 합류되는 지방2급 하천으로 평상시에는 물이 흐르지 않은 건천으로 죽은 하천이었다.

서울시는 이번 정비공사를 통해 중랑물재생센터 고도처리수 공급을 위한 유지용수관로를 설치했다. 또 하천 주변에 친환경적 자연석을 설치하고 다양한 나무를 이식하는 등 저수호안을 정비했다. 특히 한강시민공원으로 바로 연결되는 자전거 도로를 신설했고, 진출입로 9개소와 좌·우안 연결 횡단교량 5개소도 새로 만들었다. 음수대, 휴식공간, 체육시설 등 각종 편의시설도 설치했다.


이같은 공사에 따라 우이천에는 중랑물재생센터에서 흘러나온 하루 3만t 가량의 고도처리수가 수심 20cm 정도로 항상 흐르게 됐다. 또 콘크리트 블록과 석축으로 조성돼 삭막했던 저수호안 총 10.5km가 친환경적 자연석과 물억새 등이 심겨진 생태 공간으로 복원됐다.


우이천 양안에 위치한 자전거전용도로 3.1km를 연장해 중랑천 시민공원 자전거도로를 이용하면 바로 한강 시민공원까지 통행이 가능하게 됐다.


조성일 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 본부장은 "치수 기능만을 담당했던 우이천이 친환경적인 하천생태공원으로 정비되어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시민들이 자유롭고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며 "우이천과 같은 서울 도심내 소하천들이 도심 속에서도 각종 동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쾌적한 자연환경으로 시민들에게 제공되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봉수 기자 bski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