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골든타임>, 여기 의사들이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골든타임>, 여기 의사들이 있다
AD

<골든타임> 1회 MBC 월-화 밤 9시 55분
웅장한 음악을 배경으로 수술실에 들어서는 의사의 매서운 눈빛, 손 세척부터 수술복 착용까지 ‘칼군무’만큼이나 절도 있는 동작들, 수술을 성공적으로 끝낸 의사의 이마에 맺힌 땀방울. 의학 드라마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임팩트 있는 장면들이 <골든타임>에는 없다. 최인혁(이성민) 교수를 포함해 “도떼기 시장” 같은 응급실에서 일하는 의사들에게 병원이란, 명예와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암투를 벌이는 전쟁터가 아니라 숨 돌릴 틈도 없이 몰려드는 환자들을 일단 살리고 봐야 하는 일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골든타임>은 수술을 집도하는 최인혁 교수의 표정을 클로즈업하는 대신 긴박하게 돌아가는 응급실의 전체적인 풍경을 담아내며, 그 안에서 응급실 의사들의 애환을 끄집어낸다. 그들은 수술실이 없어 응급실에서 수술을 하고, 시간이 없어 배도 봉합하지 못한 채 1차 수술을 마무리하고, 중환자실조차 없어 응급실에서 회복 상태를 체크해야 한다.


그럼에도 환자를 살려냈다는 칭찬 대신 “여기가 최 선생 개인병원이야?”라는 타박이 돌아오는 상황에서 최인혁 교수가 할 수 있는 일은 그저 동료 간호사가 대신 깨주는 컵으로 속을 푸는 것뿐이다. 오로지 의사라는 자부심 하나로 응급실을 진두지휘하는 최인혁 교수와 “의사라고 할 수 없는” 이민우(이선균)는 같은 목표를 향해 경쟁하듯 달려가는 라이벌이 아니라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 전혀 상반된 신념을 가진 캐릭터라는 점에서 꽤 신선한 대립구도다. 주로 냉정한 실력파 의사와 열정만 앞세우는 새내기 의사와의 갈등을 그린 기존 의학 드라마와 비교해보면 더욱 그렇다. 가장 방심해서는 안 되는 응급실, 그 안에서 가장 완벽한 의사와 난생 처음 죄책감과 책임감이 뒤섞인 무서운 감정을 느낀 미완성의 의사가 함께 일하게 된다. 다소 어수선한 연출과 불분명한 대사 전달력만 보완된다면, MBC <하얀거탑>이나 SBS <산부인과>와는 또 다른 고달픈 의학 드라마의 탄생을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10 아시아 글. 이가온 thirtee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