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하루 손해 1800억'..車 업계 '속탄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유성기업 파업 사태에 직격탄을 맞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생산 차질 규모가 이달 말까지 6만여대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등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정부는 파업 장기화를 막기 위해 공권력 투입을 예고하면서 일주일째 지속되는 유성기업 사태가 분수령을 맞고 있다.


24일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이날 현대차 울산공장이 가동을 멈춘데 이어 완성차 업체들의 생산 차질이 본격화되면 부품업체 등 하루 매출 손실액이 18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성기업의 조업이 정상화되지 않으면 이달말까지 국내 완성차 생산차질 대수는 6만대를 웃돌고 생산차질 피해액도 1조원을 넘는다는 지적이다.


신달석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현대(현대차)ㆍ기아차 납품기업들이 하루에 1500억원, 나머지 3사에 납품하는 업체의 경우 300억원의 매출 손실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한대에 소요되는 2만개의 부품 가운데 하나만 빠져도 생산에 차질이 발생하는 산업의 특성이 피해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23일 변정수 만도 부회장은 자동차부품업계 간담회에 참석해 "유성기업 파업 영향으로 하루 매출 손실액이 8억5000만원에 달한다"며 우려했다.


또 다른 부품 업계 관계자도 "유성기업 파업이 조속히 해결되지 않으면 그 피해액은 추산하기도 쉽지 않을 정도로 피해가 커질 것"이라고 한숨을 내쉬었다.


유성기업 사태가 다른 기업의 노사 협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신달석 이사장은 "전국적으로 노사교섭을 벌이는 곳이 많다"면서 "유성기업 사태 향방에 따라 이들 기업의 움직임 역시 달라진다"고 언급했다.


특히 유성기업처럼 국내 완성차 업체에 50% 이상 부품을 납품하는 기업이 180여 곳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유성기업이 본보기가 될 수밖에 없는 만큼 원칙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날 협력사 대표 20명이 유성기업을 항의 방문해 파업 철회를 호소한데 이어 이날은 공권력 투입을 위한 경찰력이 대폭 증원되는 등 전방위 압박도 이어지고 있다. 경찰은 현재 아산공장 주변에 배치된 15개 중대 이외에 이날 중으로 16개 중대를 증원, 모두 31개 중대를 동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오전 11시에는 경찰청 경비국장 주재로 파업현장에서 공권력 투입 여부와 시기를 비롯한 사태 해결을 위한 대책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공권력 투입 이전에 노사 합의를 위한 대화를 적극적으로 주선한다는 방침"이라며 "노사간 대화가 결렬될 경우 공권력을 투입하는 절차를 밟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