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 구제역, '환경재앙' 철저 대비를

시계아이콘01분 03초 소요

[아시아경제 ]두 달여 넘게 한반도를 휩쓸고 있는 구제역과 조류 인플루엔자(AI)의 후폭풍이 심각하다. 직접적으로는 어제까지 돼지와 소 등 316만4000여마리와 닭, 오리 등 541만여 마리를 살처분함으로써 전국의 축산 산업이 위기에 처하고 농민들은 시름에 잠겨 있다. 피해보상금만도 3조원이 넘는 등 나라 경제에도 타격이 크다.


여파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가축 살처분이 시장의 수급구조를 흔들어 돼기고기 값이 지난해 말보다 두 배 가까이 뛰었다. 닭고기와 계란 값도 10%가량 올랐다. 관련 음식 값도 덩달아 오르면서 가계에도 불똥이 튀고 있다. 살처분 된 젖소의 영향으로 우유 생산량이 줄어 3월 개학 이후 학교에 공급할 우유마저 모자랄 상황이라고 한다.

더 큰 문제는 2차적인 환경 재앙이 우려된다는 점이다. 많은 가축을 급하게 매몰하다 보니 규정을 지키지 않은 경우가 많은 때문이다. 물이 지나는 길인 산비탈이나 계곡, 하천변 등 가축을 묻어서는 안 되는 곳에 매몰한 곳이 허다하다는 것이다. 날이 풀리는 봄이 오면 매몰지가 무너지거나 유실될 위험이 크다. 특히 산채로 매몰된 가축들이 발버둥치는 바람에 매몰지 구덩이에 깐 비닐이 찢긴 경우도 있어 핏물이 지하수로 스며들 가능성도 높다고 한다.


실제로 환경부와 경북도가 지난달 경북도 내 매몰지 90곳를 조사한 결과 유실 위험이 있는 매몰지가 전체의 68%인 61곳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의 경우는 매몰지의 40% 정도가 매몰 매뉴얼대로 하지 않았다고 한다. 경남 김해와 경기 파주의 매몰지에서는 가축 핏물이 섞인 침출수가 새어나오기도 했다. 지하수와 하천, 토양 등 대규모 환경 오염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당장의 구제역 박멸도 중요하지만 환경 재앙을 막는 일도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매몰지 4133곳을 전수 조사해 붕괴나 유실 위험이 있는 곳은 옹벽을 쌓고 침출수 유출 방지를 위해 차수벽(遮水壁)을 설치하는 등 사후관리를 철저히 하는 게 시급하다. 가축 매몰 작업을 정해진 규정대로 엄격하게 진행해야 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매몰 대신 영국처럼 소각 처리하는 방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매몰지가 앞으로 어떤 형태로, 어떤 피해를 낼지 예측하기 어렵다. 만반의 대비가 필요하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