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차이나인사이트]춘절(春節) 효과의 명암

시계아이콘01분 37초 소요

[차이나인사이트]춘절(春節) 효과의 명암
AD

[썬쟈 LG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절이 다가오면서 벌써부터 축제 분위기가 후끈 달아오르고 있다. 상점들은 홍등을 곳곳에 장식해 분위기를 돋우면서 명절 판촉 준비에 분주하고, 기차역마다 고향으로 돌아가려는 사람들로 북새통이다.


긴 연휴가 가져온 '휴일경제 효과'가 올해도 어김없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춘절의 법정휴가는 7일이지만 정월 대보름까지 2주간 휴가를 보내는 경우도 드물지 않아 수요를 촉진하는 효과가 상당하다.

1999년에 중국정부가 '춘절 황금연휴' 제도를 도입한 것도 당시 아시아 금융위기 여파로 내수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여행과 쇼핑을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함으로써 수요를 부양하겠다는 취지였다. 춘절연휴 7일간의 소비가 당월 전체 소비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소비활성화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해 춘절 황금연휴 기간의 소비재 판매액은 3400억위안(58조원)으로 연중 주간 평균보다 30%가량 높았다. 백화점들은 300% 이상의 매출 신장을 기록했으니 대박이 따로 없다.


특히 중국인들은 춘절을 보내기 위해 평소보다 휠씬 많은 돈을 한꺼번에 지출하는 '집중소비' 성향을 보인다. '일년 내내 절약하며 살더라도 한 번 밖에 없는 명절은 제대로 보내야 한다(寧省一年不省一節)'라는 관념이 깊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지에누(節奴)'라는 유행어까지 등장했다. 명절 때 소득수준 이상의 소비를 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중국기업의 상여금 지급시기가 대부분 춘절 직전이라는 점도 소비자 구매 의욕을 높이는 데 한몫을 한다. 선물소비가 주로 의류와 건강식품 등에 집중되지만 연말연시에 대형 가전제품의 대체수요가 워낙 왕성한 데다 최근 소비고도화 추세가 두드러지면서 LCD TV, 휴대폰 등 전자제품도 대표적인 수혜 품목으로 부상했다. 특히 이번 달부터 전자제품 구매 시 10%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이구환신(以舊換新)제도가 전국으로 확대되면서 수요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인구 대이동과 관광수요 등으로 교통 등 일부 서비스 산업이 특수를 맞이해 대호황을 누리기도 한다. 올해 춘절기간 교통운송 인구가 지난해보다 11.6% 늘어난 25억명, 관광객 수가 한국 인구의 2배가 넘는 1억2000명으로 추정된다. 외식, 통신은 물론 애완동물 호텔, 출장요리 등 신종 서비스도 각광을 받고 있다.


이처럼 중국이 내수 중심 경제로의 구조전환을 꾀하고 있는 시점에서 춘절은 긍정적인 시장 분위기를 조성하고 소비심리를 개선하는 등 경제에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중국 내수시장을 공략하는 한국기업에도 브랜드 홍보와 매출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기회이다.


그러나 교통체증, 산업생산 감소 등 춘절의 후유증도 적지 않다. 춘절 전후에 기업 인력이탈, 물류차질 등 부작용도 따른다. 특히 최근 식료품 중심으로 치솟은 물가와 이에 따른 금리상승 압력은 소비확대의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정부의 가격통제, 소득수준 향상 등을 미루어볼 때 인플레가 당장 명절소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


문제는 춘절 이후이다. 과잉유동성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에서 춘절기간에 인플레 압력이 다시 높아지면 추가 긴축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금리인상 등 긴축조치는 소비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을 뿐더러 중국의 투자수요 감소, 성장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 중국 진출 기업의 수익성, 유동성 하락 등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러므로 춘절 특수를 잡는 동시에 사전 리스크관리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썬쟈 LG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