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신조어]채팅용어도 업그레이드

[아시아경제 김철현 기자]온라인 세상에 넘쳐나는 신조어들은 채팅이나 댓글 등에서 키보드로 입력하기 쉬운 말로 의사를 표현하기 위해 생겨난 경우가 많다.


특히 빠른 의사표현과 즉각적인 반응이 중요한 채팅창은 신조어들의 주요 생산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바이바이'라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짧게 'ㅂㅂ'라는 입력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하지만 이렇게 잘 알려진 채팅 용어 외에도 지금 이 순간에도 채팅용어는 꾸준히 생산되고 있다. 우선 영타나 영어 채팅에 익숙한 네티즌들이 늘어나면서 영어를 줄인 채팅 용어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TTYL'이다. 이는 'Talk To You Later'를 줄인 말이라고 한다. '잠시 후에 이야기 하자'는 뜻이 되겠다. 채팅 중에 갑자기 볼일이 생기면 'TTYL'이라고 하면 되는 것이다.

'LOL'은 'Laughing out loud'를 줄인 것으로 '큰 소리로 웃다'는 뜻이란다. 주로 영어 채팅시 웃기는 상황이 발생하면 쓸 수 있다. 이와 비슷한 우리식 표현은 'ㅇㅅㅇ'다. '우스워'를 축약해서 만든 말이다.


'리하이'는 말 그대로 '다시 안녕'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채팅 중에 잠시 나갔다가 다시 채팅방에 들어올 경우에는 '하이'가 아니라 '리하이'라고 인사하면 된다.


'채팅' 자체와 관련된 신조어들도 많다. 대표적으로 '채금'은 '채팅 금지'를 줄인 말이다. '뻐꾹팅'이라는 말도 자주 쓰이고 있다. 이 말은 남의 아이디로 즐기는 채팅을 의미한다. 네티즌들에 따르면 이는 뻐꾸기가 다른 새의 둥지에 알을 낳는 습성에서 유래됐다고 하니 나름대로 과학적 근거가 있는 신조어인 셈이다.


'잡채'라는 말도 있다. 중요한 얘기 없이 잡담으로 일관하는 채팅을 줄여 부르는 말이다. '친구랑 잡채했다'는 말은 음식을 만들었다는 뜻이 아니라 의미 없는 채팅을 했다는 뜻인 것.


그렇다면 '채틀맨'은 무슨 뜻일까? 이는 채팅과 젠틀맨의 합성어로 채팅 시 매너가 좋은 사람을 이르는 말이다. 하지만 온라인 세상에는 채틀맨을 찾기 힘든 모양이다. 주로 채팅과 관련해서 부정적인 신조어가 더 많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채색증'. 이는 '채팅만 하면 색을 밝히는 증세'를 줄인 말이다. '채생채사'라는 신조어도 있다. '채팅에 살고, 채팅에 죽는다'는 뜻으로 역시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리플 채팅'이라는 말도 흥미롭다. 이 말은 댓글이 실시간으로 달리면서 채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때 쓰인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