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시공초월' '기업감동' 충남도·홍성군 이야기

-일진그룹 유치, 2년 반 끈질김의 결실
-250여차례 대면..도 모든 역량 동원
-홍성 히든카드는 ‘지역사회 유대’


지금 홍성은 축제 분위기다. 일진전기 등 14개 일진 계열 그룹이 새로운 도약을 위한 발판으로 충남 홍성을 택해서다. 일진은 홍성군 갈산면 홍성일반산업단지 116만여㎡에 오는 2015년까지 1조5950억원을 들여 회사를 옮긴다.

이로써 홍성군은 6년간 해마다 2700억원의 투자금을 받게된 셈이 됐다. 이는 올해 전체예산 3200억원의 약 84% 수준이다.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 등 부수익은 더욱 짭짤하다.


사실 일진그룹을 유치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은 많았다. 그렇다고 충남도와 홍성군이 일진에 준 혜택은 특별한 것도 없다. 그럼 일진은 왜 홍성을 찍었을까. 또 충남도가 다른 지자체를 따돌린 비결은 무엇일까. 충남도와 홍성군이 펼친 기업유치활동이 '모범답안'이다.


◇3년에 걸친 '지극 정성 통했다'= 지난 2007년 1월 충남도청 기업유치팀장인 박정화 사무관은 일진그룹이 이전대상지를 찾는다는 정보를 들었다. 앞서 수도권에서 당진으로 온 한 기업의 민원을 도와주는 과정에서였다.


곧바로 일진그룹 접촉에 나섰다. 하지만 일진은 쉽게 정보를 주지 않았다. 노조 반발이나 우수인력유출이란 악재를 우려해서다.


충남도 유치단은 포기하지 않았다. 여러 차례 해당업무 책임자를 설득한 끝에 일진이 전국을 무대로 이전대상지를 찾고 있다는 정보를 확인했다.


해당 국장은 물론 담당관, 도지사, 홍성군수가 발 빠르게 움직였다. 모든 인맥을 동원, 일진 사장단을 비롯한 일진그룹 임ㆍ직원단 접촉에 나선 것이다. 결국 지난달 16일 허진규 일진그룹 회장과 이완구 충남도지사가 만나 '홍성 이전'을 전격 합의했다. 여기까지는 감동적이랄 것도 없는 일반적인 스토리다. 그러나 과정을 들여다보면 해당 지자체가 얼마나 지극정성였는지를 알 수 있다.


충남도와 홍성군이 일진그룹 유치를 위해 들인 시간은 2년 반이 넘는다. 일진 쪽과 얼굴을 맞댄 수도 250여 차례에 이른다. 나흘에 한 번 꼴로 그룹본사가 있는 서울 마포와 경기 화성 일진전기공장을 찾아다닌 셈이다.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끈질긴 투자유치활동을 벌였던 것이다.


충남도가 민선 4기 이완구 지사 시기동안 끌어들인 국내 기업은 무려 2500여개가 넘는다. 투자금액은 40여조원에 달한다.


◇마지막 카드는 '지역 유대' = 물론 감동과 끈기만으로 기업을 유치하기란 어렵다. 또 다른 이유가 있다. 홍성은 '지역유대'를 내세웠다. 홍성엔 서해안 및 대전∼당진 간 고속도로 개통에 이어 2018년 홍성과 평택을 잇는 제2서해안 고속도로가 뚫린다. 2012년 충남도청이 옮겨지면 도청소재지가 된다. 땅 값이 오를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일진은 이전후보지로 서산, 당진, 보령을 비롯해 경기 평택과 전북 새만금까지 고려했었다. 인프라, 교통, 땅값 면에서 보다 좋은 조건이 있었단 얘기다. 게다가 지자체의 행ㆍ재정적 지원이나 세제혜택은 대개 비슷했다.


여기서 홍성군이 대타로 투입됐다. 히든카드는 '지역사회와의 유대'였다. 민간기업이 가장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지역사회와의 마찰을 해결해 주겠다는 것이었다.


윤봉진 홍성군청 경제과 공단조성담당 계장은 “전국의 큰 사업들이 주민들과의 마찰로 늦춰진 경우가 많았다. 우리 군은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홍성은 공장 터 협의과정에서 생길 민원을 모두 책임지겠다고 제안했다. 지자체가 기업유치를 위해 땅 매입과 관련된 주민동의를 받겠다는 건 처음이다. 홍성의 전략과 일진의 고민이 맞아 떨어졌다.


강상수 일진전기 상무는 “홍성군의 유치의지와 지역사회 유대관계가 크게 고려됐다”고 털어놨다. 마침내 홍성 이전의 '화룡점정'을 찍은 것이다.


박종화 충남도 기업유치팀장은 "입지 여건, 감동 마케팅, 끈질긴 설득 및 협상, 해당지자체와의 역할 분담 등 입체적인 활동이 일진을 움직인 것 같다"고 평가했다.

노형일 기자 gogonh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